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를 위장한 스마트폰 랜섬웨어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안랩은 최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의 데이터를 인질로
삼아 금전을 요구하는 스마트폰 랜섬웨어 사례가 발견돼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랜섬웨어란 몸값을 뜻하는 '랜섬(Ransom)'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로, 파일을 인질로 잡아 금전을 요구하는 점이 특징이다.
일단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된 문서·그림
파일 등에 암호가 걸려 사용자는 암호가 걸린 스마트폰 앱을 이용할 수 없게된다.
이후 공격자는 피해자에게 암호화 된 자료를 해독할 수 있는 열쇠 프로그램을 전송해
준다며 금전을 요구한다.
이번에 발견된 공격자는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를 사칭한 악성
앱을 제작해 유포했다.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스마트폰의 화면은 '100달러를 5일안에
입금하라'는 문구가 담긴 감염화으로 바뀌고 다른 화면으로 전환할 수 없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버전·모델명·사용 국가 등의 정보가 공격자에게
전송된다.
랜섬웨어에 감염됐다면 스마트폰에서 '안전 모드'로 부팅한 후
'설정-기기 관리자(휴대폰 관리자)' 메뉴에서 랜섬웨어를 포함하고 있는 악성 앱의
비활성화에 체크한다. 이후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해당 앱을 제거하면 된다.
안랩은 스마트폰 보안 위협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 공식 마켓에서
평판 확인 후 앱 다운로드 ▲ 문자메시지/SNS 내 URL 실행 자제 ▲ 스마트폰 백신
설치 및 자동 업데이트/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등 보안 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