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네크워크에 대한 최종적인 모델을 말한다면 선이 없는 세상, 즉 무선으로 통하는 네트워크라는 데 중지를 모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유선 네트워크에 대한 기대불만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지만 좀더 정확히 설명하자면 사용자 욕구의 증가라고 추리할 수
있을 것이다.
어째든 미래의 네트워크는 백본 인프라에는 유선이, 가입자(사용자)에게는 무선으로 서비스되는 세상이 열릴 것은
당연지사로 보이며, 그 기술 표준의 확정, 시간 그리고 서비스비용만이 관건으로 남아 있다.
현재 사용할 수 있는 무선관련 솔루션 환경은 상당히 제한적이고 속도면에서도 열악한 편이다. 근거리에는 생활가전의
개념을 담은 블루투스가, 조금 더 원거리에는 무선랜의 대명사로 불리우고 있는 IEEE 802.11b, 그리고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무선인터넷은 IS-95b/c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 실제적으로 사용자환경이 유선랜의 현재 환경과 가장 유사하게 서비스될 수 있는 것은 바로 802.11b.
추후버전으로 더욱 향상된 속도를 나타나게될 802.11 시리즈는 현재로서는 PC환경과 노트북환경에 가장 적합한 무선랜 솔루션이다.
그 이유는 속도 면에서도 2M에서 11M로 다른 솔루션에 비하여 빠르며, 높아진 성능과 비례하여 가격은 떨어지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또한 IEEE802.11b는 무선MAC(Media Access Control)층과 물리층을 표준화 범위로 설정한 유선Lan
호환되어 호환성에서도 앞서고 있으며, USB, PCI, PCMCIA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다가가고 있는 점도 강점이다.
무선랜 3총사
IEEE 802.11b(이하 무선랜) 제품군을 가지고 있는 업체는 3Com, 루슨트 테크놀로지, 저콤, 시스코
시스템즈, 인텔 등으로 대부분 통신관련 메이저급 회사들이다. 이중에서 루슨트 테크놀러지는 기존의 유선네트워크에서 익힌 고유의 기술을 무선랜
부분으로 잘 접목시키고 있는 회사 중에 하나이다.
RG-1000
|
방식(공통사항)
|
IEEE 802.11b
|
주파수(공통사항)
|
2.4GHZ
|
전송률(공통사항)
|
11Mb/s(5.5,
2, 1Mb/s) |
암호화
|
64bit WEP(Wired
Equivalent Privacy) |
전원
|
7 to 15VC
|
인터페이스
|
10Base-T(UTP)
|
크기
|
208×52×155mm
|
무게
|
350g
|
사용거리
|
550미터(장애물없을시)
|
IEEE-802.11b
11Mbps PC Card |
인터페이스
|
PC
Card Type II PCMCIA, 안테나 내장형 |
운영체제
|
Windows
95, 98, Me, 2000 |
주파수대역
|
2.4GHz-2.497GHz
|
무선방식
|
DSS(직접
주파수 대역 확산 방식) |
크기
|
118×55×8mm
|
IEEE-802.11b
USB Client
|
인터페이스
|
USB 1.1 Spec |
운영체제
|
Windows
95, 98, Me, 2000 |
전원
|
5V(USB)
|
크기
|
63×89×145mm
|
무게
|
170g
|
가격 |
3종 모두 미정 |
제조사
|
Orinoco
|
판매사
|
(주)에프네트
[2167-2863] |
루슨트 제품은 디자인에서도 상당히 세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데, 이번에 리뷰할 무선랜 패캐지인 Orinoco
소호 패키지에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왜냐면 Orinoco 무선 패키지는 루슨트사의 무선분야가 독립하여 설립한 어바이어(Avaya)사의 제품이기 때문이다.
Orinoco 패키지는 일반적인 802.11b 패키지와 마찬가지로 허브의
역할을 하는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와 무선랜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Orinoco 소호패키지는 여기에 데스크탑에서 사용할 수
있는 USB방식의 무선랜카드도 포함하고 있어서 진정한 소호환경에 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먼저 액세스 포인트(이하 RG-1000)의 외형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액세스포인트에 비하여 사무용에 어울리는
듯한 색상과 디자인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통 액세스포인트는 숨겨져 있는 그 용도상 노출이 적기 때문에 모양에는 별로 신경을 안
쓰는 경향이 짙은데, Rg-1000은 유선형 디자인은 물론이고 색감도 고급스럽다.
전면에는 총4개의 LED가 장착되어 있다. 가장 상단에 있는 것은 전원유무를 나타내는 LED이며, 그 하단의
LED는 무선랜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LED이다. 세 번째 LED는 이더넷, 즉,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LED이며,
마지막 가장 하단에 위치한 LED는 모뎀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LED이다.
후면에는 이중덮개 형태를 채택하여 깔끔한 선처리가 돋보이는 곳이다. 각 케이블을 연결한 후 하단부분으로 선을
빼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쪽에는 RJ-45 랜포트와 RJ-11 모뎀포트, 그리고 전원포트 등이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