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리스 카메라가 고화질과 성능, 그리고 휴대성으로 디지털 카메라 시장의
대세가 되고 있다. 화질은 D-SLR 카메라급을 보여주면서도 가격은 훨씬 저렴하고,
크기와 무게는 하이엔드 디지털카메라급 수준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고급 사용자뿐만
아니라 중급과 초보 사용자들까지 미러리스 카메라에 관심을 갖고,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이렇게 커져가는 미러리스 시장을 메이저 디지털 카메라 메이커들이 놓칠리가
없다. 현재로써는 거의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 제조사들이 미러리스 시장에 뛰어들었으며,
미러리스 제품군에서도 보급형과 고급형 등 세분화된 제품들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니콘은 1 시리즈로 뒤늦게 미러리스 시장에 뛰어들었다. 더군다나 니콘은 APS-C
또는 포서즈 규격이 대부분인 미러리스 시장에 독자적이고 가장 작은 크기인 CX
규격 센서를 채용해서 태생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미러리스 최초로 위상차
검출과 컨트라스트 검출 방식을 모두 채용한 하이브리드 AF와 뛰어난 고속연사 기능을
앞세워서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하고 있다. 니콘 1 시리즈의 최신모델 니콘 1
V2는 이러한 장단점을 어떻게 극복하고 강화하고 있을까?
■ 기본이고 편리한 디자인, CX 포맷
니콘 1 V2는 가장 보편적인 스타일의 외형을 갖고 있다. 돌출된 그립부와 팝업
플래시는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편리한 형태이다. 팝업 플래시의 양쪽에는 동영상
촬영시 사운드를 녹음하는 마이크 홀이 보인다. 그립부는 고무 재질로 되어서 그립감을
향상시키며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렌즈 마운트 옆에는 은색의 렌즈 분리 버튼이 보인다. 바디캡을 제거하면 니콘
CX 포맷의 CMOS 센서가 보인다.
후면에는 작은 바디의 뒷면을 꽉 채운 3인치 액정이 있으며, 전자식 뷰파인더와
왼쪽편 네 개의 버튼, 그리고 F 버튼과 원형의 멀티셀렉터가 있다. 멀티 셀렉터 위로는
엄지손가락을 올려두어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위치에 고무 그립을 두고 있다.
그립부가 있는 왼쪽 측면에는 스트탭 고리 외에는 별다른 부분이 없으며, 반대쪽
측면에는 입출력 단자 커버와 뷰파인더의 시도조절다이얼, 내장 플래시 팝얻 레버
등이 보인다.
입출력단자는 마이크 단자와 미니 HDMI 단자, 그리고 USB 커넥터가 있다. 니콘
1 V2에는 요즘 점차 보편화 되고있는 Wi-Fi 기능이 내장되지 않았지만, USB 커넥터에
무선 모바일 어댑터를 장착하면 Wi-Fi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모바일 어댑터는
별매이다.
니콘 1 V2의 상단에는 각종 다이얼과 동영상 녹화 버튼, 그리고 전원스위치와
셔터버튼이 있다.
니콘 1 V2의 촬영시 설정 및 컨트롤은 그립부 위에 있는 모드 다이얼과 커맨드
다이얼, 그리고 F버튼과 멀티 셀렉터로 거의 전부를 조작할 수 있다. 모드 다이얼
옆에 있는 아무런 표시가 없는 커맨드 다이얼은 회전으로 메뉴 이동이나 기능 선택도
가능하지만, 일반 회전 다이얼 기능뿐만 아니라 버튼 기능도 갖고 있다. 커맨드 다이얼을
돌리다가 앞쪽으로 꾹 눌러주면 버튼처럼 눌리는데, 이렇게 회전 다이얼과 버튼 기능을
모두 갖추어서 쉼고 빠르게 설정이 가능하다.
상단의 일반 핫슈처럼 생긴 부분의 커버를 벗겨보면 일반 핫슈와는 조금 다른
멀티 액세서리 포트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전용의 스피드라이트나 GPS모듈 등을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내장 플래시는 가이드 넘버 5로, 팝업되기 전에도 아래쪽으로 노출되어있지만
팝업이 된 상태에서만 동작한다.
하단에는 배터리/메모리 커버와 삼각대 소켓이 있다. 메모리는 SD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 1 Nikkor VR 10-30mm 번들렌즈
니콘 1 V2의 번들 렌즈는 10-30 렌즈로, 바디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렌즈가 제공된다.
니콘 1 Nikkor VR 10-30mm F3.4-5.6 렌즈는 측면에 원형의 자그마한 버튼이 달려있는데,
사용할 때에 이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줌링을 돌려서 안쪽에 수납되어있는 경통을
돌출시켜주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부속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 EN-EL21과 전용 충전기, 바디 컬러와 동일한 넥스트랩,
USB 케이블 등이 제공된다.
■ 전자식 뷰파인더
니콘 1 V2는 전자식 뷰파인더를 갖추고 있다. LCD를 보면서 사진을 찍는
것이 이제는 너무나 익숙해져서 오히려 뷰파인더를 들여다보며 촬영하는 것이 더
어색할지도 모르겠지만, D-SLR 카메라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아직 뷰파인더가 더욱
익숙하며, 밝은 낮에 야외에서 촬영할 때에는 LCD가 어두워서 촬영에 불편을 겪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더더욱 EVF가 유용하다.
니콘 1 V2의 EVF는 144만화소의 0.47인치로, 시야율 100%를 제공한다. EVF 화면의
구성은 LCD 화면과 완전히 동일하다. 니콘 1 V2의 LCD 표시정보를 최대로 했을 때의
모습 다음과 같다.
이 화면을 EVF로 보면 다음과 같다.
촬영시 뿐만 아니라 재생시에도 EVF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재생화면도
LCD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을 EVF에서 고스란히 볼 수 있다. 다음은 자세한 화상정보
보기를 EVF로 확인한 모습이다.
■ 노이즈 억제력
화질 테스트로 제일 우선 노이즈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다. 아래 사진에서
피사체 인형의 눈 부분(붉은 네모)과 배경 부분(노랑색 네모) 부분을 크롭해서 비교했으며,
고감도 노이즈 제거 기능을 켰을 때와 껐을 때를 모두 확인해보았다.
우선 피사체 인형의 눈 부분을 비교해보자.
노이즈 제거 기능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는 ISO 800부터 제법 많은 노이즈가
보이며, ISO 6400에서는 굉장히 많은 노이즈가 나타나고 있다. 노이즈 제거 기능을
켰을 때에는 전반적으로 노이즈가 많이 억제되고 있으며 ISO 1600까지는 상당히 깨끗한
화질을 얻을 수 있었다.
이번에는 어두분 부분인 배경의 노이즈를 확인해보자.
어두운 부분에서 노이즈 제거 기능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는 ISO 400에서부터
많은 노이즈가 보이기 시작하며, ISO 1600 이상은 상당한 노이즈가 화면을 채우고
있다. 노이즈 제거 기능을 사용했을 때에는 ISO 800까지는 제법 깨끗한 화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ISO 1600도 나름 괜찮은 노이즈 억제력을 보여주고 있다.
■ 고속 연사와 특화 기능
니콘 1 V2는 연사 능력이 뛰어나다. 최대 60fps로 촬영이 가능하며, 이 때에 최대
45매까지 연속촬영이 가능하다. 운동경기 장면을 찍거나 움직임이 많은 공연장면
등을 촬영할 때에 고속연사로 촬영하면 그 중에서 잘 나온 사진을 고르기가 편하기
때문에 촬영실패 확률이 낮아진다. 다음은 고속연사 기능을 이용해서 촬영한 40매의
연속사진과 이를 이용해서 애니메이션 GIF를 만들어본 모습이다.
니콘 1 V2에는 고속연사 기능을 응용한 몇가지 재미있는 기능이 있다. 우선 느린화면
기능을 알아보자.
느린화면은 빠른 움직임을 포착해서 최고의 장면을 고를 수 있는 기능이다. 우선
모드 다이얼을 순간포착 캡처모드로 선택하고 사진의 구도를 잡은 뒤 반셔터를 누르면
최대 40프레임을 고속연사로 촬영한다. 이 때에 반셔터를 누른 상태로 유지하면 방금
촬영된 최대 40컷의 화면이 버퍼에 저장되어서 느린 속도로 계속 반복되어서 화면에
나타난다. 느리게 반복되는 사진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사진이 나타났을 때 셔터를
완전히 누르면 해당 장면이 사진으로 저장된다. 물론 고속연사로 모두 촬영한 뒤에
나중에 골라도 되겠지만, 현장에서 메모리의 낭비없이 최고의 장면을 고르기에 아주
유용하다. 다음은 느린화면 기능을 이용해서 사진을 촬영하고 선택하는 모습이다.
순간포착 캡처모드메서 F버튼을 누르면 느린화면 기능 이외에 스마트 포토 셀렉터라는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느린화면 기능과 흡사하지만, 버퍼에 저장된 여러장의
사진 중에서 베스트 컷을 사용자가 직접 고르지 않고 카메라가 자체적으로 판단해서
최적의 사진을 골라서 저장한다. 또다른 특징은 단 한장의 베스트컷을 저장하는 느린화면
기능과는 달리 다섯장의 베스트컷이 저장된다.
니콘 1 V2는 고속연사 기능을 동영상에도 응용하고 있다. 우선 아래는 니콘 1
V2가 지원하는 풀 HD 일반 동영상이다.
니콘 1 V2는 위의 일반 동영상 이외에 슬로우 모션이라는 동영상을 사용할 수
있다. 동영상 모드에서 F 버튼을 눌러서 슬로우 모션 모드를 선택한 뒤에 녹화 버튼을
누르면 슬로우 모션 촬영이 진행된다. 슬로우 모션 촬영은 400fps로 촬영이 되며,
재생은 30fps로 되기 때문에 상당히 느린 모습으로 재생된다. 화면은 종횡비 8:3으로
저장되며, 사운드는 저장되지 않는다.
결과물을 보면 피사체는 위쪽 HD 영상 촬영과 동일한 비둘기지만, 굉장히 느린
모습으로 촬영되어서 완전히 새롭고 색다른 영상을 즐길 수 있다. 다음은 슬로우
모션으로 촬영한 멋진 영상이다.
■ CX 포맷, 아웃포커싱은 태생적 한계
니콘 1 V2는 이렇게 다양하고 독특한 기능을 갖춘 미러리스 카메라이다. 물론
단점도 존재한다. 우선 미러리스 카메라 중에서 가장 작은 센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APS-C 규격의 미러리스 최고 크기 센서 카메라들에 비하면 노이즈가 조금
더 많은 편이다. 이는 노이즈 제거 등 기술력으로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배경을 흐릿하게 표현하고 피사체를 또렷하게 나타내주는 아웃포커싱 기술력으로
보완이 어려운 한계일 수밖에 없다. 다음은 CX 포맷의 니콘 1 V2와 APS-C 센서를
사용하는 타 미러리스와의 배경날림 정도를 비교한 모습이다. 물론 환산화각까지
동일하게 맞추기는 힘들기 때문에 촬영 조건을 최대한 맞추고 동일한 조리개값으로
촬영하였지만, 배경날림에 있어서는 니콘 1 V2가 확실히 부족하게 보인다.
▲
니콘 1 V2 ▲
APS-C 센서 미러리스
또 한가지 단점은 LCD의 색감이다. 필자가 처음 니콘 1 V2를 테스트하면서 촬영한
사진을 액정 디스플레이로 확인했을 때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는 색상 때문에 실망했었는데,
컴퓨터 모니터에서 확인한 사진은 느낌이 완전히 달랐다. LCD에서 본 지나치게 색이
빠진듯한 색감은 커다란 컴퓨터 모니터에서은 완전히 사라지고 아주 자연스럽과 고급스러운
색감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점은 양날의 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면으로는 장점이
될 수도 있다. 어떤 카메라들은 LCD가 과장된 색감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현장에서
재생해서 볼 때에는 만족스럽다가 큰 모니터에서 보고 실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니콘 1 V2는 작은 센서의 채용으로 앞서 지적한 몇가지 단점도 갖게 되었지만,
대신 작은 바디와 컴팩트함을 유지할 수 있는 렌즈를 갖출 수 있게 되면서 높은 휴대성을
갖추었으며, 여기에 니콘의 기술력을 더해서 현실적인 색감과 뛰어난 고속연사 기능
등으로 베스트 컷을 놓치지 않는 미러리스 카메라로 자리매김한 점, 그리고 렌즈
어댑터를 이용해서 수많은 Nikkor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으로 단점을 보완하고
특히 니콘 D-SLR 사용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러리스
최초로 채택한 하이브리드 AF 시스템은 여전히 빠르고 정확한 모습을 보여주어서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차기 모델에서는 요즘 신형 디지털 카메라들이 속속 채택하고 있는 Wi-Fi 기능
등을 추가하면 더 경쟁력을 갖출 수 있지 않을까?
니콘 1 V2로 촬영한 샘플 사진으로 마무리를 하자. 촬영에는 10-30 번들렌즈와
10mm F2.8 단렌즈를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