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내부전송속도 테스트 및 어플리케이션 지원
6. 내부전송속도 테스트...막상막하
테스트 제품으로 선정된 8종의 제품은 4개의 LAN포트를 갖추고 있으며, 10/100
스위칭 허브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이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스펙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공유기를 쓰는 이유 중에 하나는 PC간 데이터 이동 및 공유이므로
내부전송 속도 테스트를 실시해보았다. 파일은 45MB 용량의 파일 두 개를 사용했으며,
총 5번 테스트한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파일전송의 표준화를 위해 윈도우커맨더
4.53a 버전을 이용하였다.

내부전송속도
Test |
다운로드(초)
|
업로드(초)
|
Zio INB2040SR
|
11.62
|
33.6
|
Anygate
GW200+
|
11.55
|
30.9
|
Netgear
RP114
|
11.59
|
31.6
|
Linksys
BEFSR41
|
11.63
|
31.2
|
Samsung
MagicIP Blue
|
11.36
|
33
|
Vanet
PS-610
|
11.74
|
31.1
|
TG-Ubase
UB-LR0417
|
11.55
|
32.4
|
Buffalo
BLR2-TX4
|
11.55 |
34.7
|
내부전송속도 테스트의 경우에는 성능차이를 검증한다기보다는 성능저하를 찾기위한
테스트이다. 그 이유는 앞서 말한대로 동일한 스펙에서의 파일 전송 테스트이기 때문이다.
테스트 결과값 역시 약간씩의 차이는 있으나 8종의 공유기가 모두 흡사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7.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호환 테스트...애니게이트,
바네트, 유베이스 합격점
아무리 속도가 빠르고, 기능성이 좋다고 해도 정작 사용하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을
잘 지원하지 못한다면 공유기 사용에 의미가 반감될 것이다. 이러한 지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공유기사들은 매시기마다 수정된 펌웨어를 제공하는데, 이번 테스트에서는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호환성을 짚어보았다. 참고로 8종의 공유기들은 모두
최신 펌웨어를 탑재하였다.
P2P
Test |
소리바다
|
MSN
|
Netmeeting
|
Zio INB2040SR
|
OK
|
NO
|
NO
|
Anygate
GW200+
|
OK
|
OK
|
OK
|
Netgear
RP114
|
OK
|
NO
|
NO
|
Linksys
BEFSR41
|
OK
|
NO
|
NO
|
Samsung
MagicIP Blue
|
OK
|
NO
|
OK
|
Vanet
PS-610
|
OK
|
OK
|
OK
|
TG-Ubase
UB-LR0417
|
OK
|
OK
|
OK
|
Buffalo
BLR2-TX4
|
OK
|
OK
|
OK
|
먼저 자주 사용하게 되는 P2P 소프트웨어 3가지 선정, 사용해보았다. 그결과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요즘 이슈화되고 있는 소리바다는 모두 사용이 가능했다.
물론 소리바다에서 "온라인 자동감지" 옵션을 제거한 상태였다. 국민 메신저라고
불리우는 MSN의 경우에는 약간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제품들이 발생하였다. 지오와
넷기어, 링크시스, 삼성 4종의 제품이 바로 그 주인공들인데, 이 4종의 공유기들은
펌웨어에서 별도로 설정을 해야만 파일전송 기능 등을 완벽히 사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화상채팅 P2P 유틸리티인 넷미팅(Netmeeting)에서도 지오와 넷기어, 링크시스
3종의 제품들은 모든 기능을 완벽히 사용할 수는 없었다.
VoIP
Test |
와우콜
|
다이얼패드
|
Zio INB2040SR
|
OK
|
NO
|
Anygate
GW200+
|
OK
|
OK
|
Netgear
RP114
|
OK
|
NO
|
Linksys
BEFSR41
|
OK
|
NO
|
Samsung
MagicIP Blue
|
OK
|
NO
|
Vanet
PS-610
|
OK
|
OK
|
TG-Ubase
UB-LR0417
|
OK
|
OK(설정필요)
|
Buffalo
BLR2-TX4
|
OK
|
OK(설정필요)
|
다음으로 VoIP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 와우콜과 다이얼패드에서 음성통화를 수행해보았다.
그 결과 와우콜에서는 모든 제품이 사용가능 했으며, 다이얼패드에서도 큰 문제는
없었다. 다만 유베이스 제품과 버팔로 제품은 약간의 셋팅과정을 거쳐야 사용 가능했다.
Game Test |
울펜
슈타인
|
디아블로2
|
스타크래프트
|
Zio INB2040SR
|
OK
|
OK
|
동시접속가능/동일방가능/개설후
참가불가능
|
Anygate
GW200+
|
OK
|
OK
|
동시접속가능/동일방가능/개설후
참가가능
|
Netgear
RP114
|
OK
|
OK
|
동시접속가능/동일방가능/개설후
참가불가능
|
Linksys
BEFSR41
|
OK
|
OK
|
1대만
접속 가능
|
Samsung
MagicIP Blue
|
OK
|
OK
|
설정후
동시접속가능/개설후 참가불가능
|
Vanet
PS-610
|
OK
|
OK
|
동시접속가능/동일방가능/개설후
참가가능
|
TG-Ubase
UB-LR0417
|
OK
|
OK
|
동시접속가능/동일방가능/개설후
참가가능
|
Buffalo
BLR2-TX4
|
OK
|
OK
|
동시접속가능/동일방가능/개설후
참가불가능
|
게임은 장르별로 3가지를 임의로 택하여 실행해보았다. FPS라고 불리우는 1인칭
액션게임에서는 울펜슈타인을 실행시켜보았는데, 8종의 제품 모두가 무리없이 동일한
방에 참여할 수 있었다. RPG게임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디아블로 역시 8종의 제품들이
동일한 방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국민게임이라고 불리는 스타크래프트에서는 각 제품별로 약간씩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먼저 지오의 경우에는 동시접속과 동일한 방에서 게임을 가능했으며, 두 대 PC중
1대의 PC에서 개설한 방에는 접속을 할 수 없었다. 넷기어와 버팔로 역시 지오와
동일한 현상을 보였다. 링크시스의 경우에는 1대의 PC만 접속이 가능했으며, 삼성제품의
경우 별도의 설정을 거쳐야만 2대의 PC가 접속할 수 있었다. 완벽하게 스타크래프트의
배틀넷을 즐길 수 있는 제품은 총 3종으로 애니게이트, 바네트, 유베이스로 나타났다.
3종의 공유기는 별다른 설정없이 동시접속 및 동일한 방에서 게임이 가능했으며,
두 대의 PC중 누가 방을 개설하더라도 게임이 참여가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