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스마트폰 문자메시지를 악용한 사이버사기
수법인 스미싱 대응방법을 설명한 ‘스미싱 예방 및 대응 가이드’를 27일 발표했다.
KISA가 발표한 가이드에는 스마트폰 안전하게 관리하는
요령,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스미싱 피해 예방 등이 소개되고 있다.
먼저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스마트폰
권한 임의변경 금지 ▲‘알 수 없는 출처(미인증) 앱 설치’ 기능 해제 ▲스미싱
차단앱 설치 ▲모바일 백신 설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최신 업데이트 ▲보호되지
않는 무선 공유기(WiFi) 사용 금지 등 보안수칙을 지켜야 한다.
또, 스미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식 앱마켓 이용하기
▲앱 설치 시 요구권한 적절 여부 확인하기 ▲휴대폰 관리자 권한 활성화 금지 ▲모바일
백신 설치 및 점검 등 스마트폰 앱 설치 시에도 보안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미싱에 대해 잘 모르는 일반인들도 간단한 서비스 가입만으로
스미싱을 예방할 수 있도록 웹 발신 확인 서비스, 번호도용 문자차단 서비스, 소액결제
차단 서비스 등 이동통신사가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도 소개했다.
가이드에는 악성앱 유형별 휴대전화 제조사별 삭제 방법도 제시했다.
대부분의 악성앱은 모바일 백신이나 스마트폰 환경설정에서 앱 목록을 확인해 삭제가
가능하지만 관리자 권한 해제를 방해하는 악성앱은 안전모드로만 부팅해야 삭제가
가능하므로 평소 삭제방법을 숙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만약 스미싱 같은 모바일 결제 피해를 입었다면 이동통신사 고객센터에서
스미싱 피해 신고 및 ‘소액결제확인서’를 발급 받아 경찰청 사이버수사대 또는
민원실(112)에 신고해 ‘사건사고 사실 확인서’를 발급 받아야 한다. 결제 금액
환급은 통신사나 결제대행 업체에 요청하면 된다.
‘스미싱 예방 및 대응 가이드’의 자세한 내용은 보호나라(boho.or.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