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손상됐을 때 세포사멸 유도단백질 PDCD5에 의한 세포사멸 활성화 과정.
출처 : 한국연구재단
위암세포를 찾아 자살에 이르게 하는 새로운 단백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13일 연세대 의대 윤호근 교수와 울산대 의대 최경철 교수팀은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PDCD5 단백질이 항암 단백질 'p53'을 활성화하고
p53의 기능을 방해하는 히스톤탈아세틸화효소(HDAC3)를 억제해 암세포 자살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기존 항암제는 암 세포 뿐 아니라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는 부작용이
있었지만 이번에 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세포사멸유도단백질(PDCD5)의 기능을 밝혀냄에
따라 앞으로는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없앨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평가다.
연구진은 7년간 암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유전자 발현
변화를 측정·분석해 암세포 사멸유도 단백질인 PDCD5'가 p53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HDAC3의 기능을 잃게 한다는 사실을 새로 발견했다.
DNA가 손상되면 PDCD5 단백질이 안정화되면서 핵 안으로 이동해
p53과 복합체를 형성, HDAC3가 p53에 붙어 그 기능을 억제하는 것을 막는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위암환자들에게 PDCD5가 적게 나타날 경우 생존율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고 PDCD5를 통해 p53을 활성화하면 위암세포에서 종양이
자라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6월 16일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