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택은 12일 본사 대강당에서 전임직원이 모여 ‘New Pantech, 2016년 경영방향성
설명회’를 갖고 팬택의 부활을 공식적으로 알리고 재도약의 의지를 다졌다.

지난해 12월 1일 조직을 재정비한 팬택은 정준 대표 겸 경영위원회 의장을 비롯하여
신임 문지욱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NEW 팬택의 경영목표 및 4대 사업 방향성과
달성 전략 발표를 통해 구체적으로 회사의 미래상을 전임직원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준 대표 겸 경영위원회 의장은 인사말에서 “팬택의 인수는 저에게 한 기업의
인수라기 보다는 두 번째 창업과 다름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3년 후 팬택의
모습이 과연 어떻게 될까 너무 궁금해서 세월이 빨리 흘러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우리 앞에 벌어질 일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설레고 많은 기대가 되기도
합니다.”, “과거처럼 틀에 갇혀 껍질을 벗지 못하는 뱀처럼 머물러 있다면 다시
도태될 수 있으므로 팬택의 기술, 영업 그리고 여러분 개개인의 역량을 십분 발휘하되
과거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껍질을 벗고 혁신해서 새로운 시장 새로운 영역에서 전략적으로
더 치열하게 도전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새로운 성공의 스토리를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하며 임직원들에게 4가지를 강조하였다.
첫째, 자기 분야에서 최고의 실력을 가지고 있는 프로가 되어야 하며, 둘째, 꾸준한
학습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셋째, 글로벌 시장으로 시야를 돌리면
우리에게는 너무나 많은 기회가 있으므로 우리의 시야를 전세계로 넓혀야 하며, 넷째,
변신을 해야 살아 남을 수 있으므로 변신을 두려워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다.
[사업 방향성 및 중장기 경영목표]
팬택은 그동안 국내 스마트폰에 편중되어 있던 사업구조에서 탈피하여 IoT 사업
확대, Wearable Device 사업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스마트폰 시장 역시 성장
잠재력이 큰 인도네시아 등 해외 신흥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JV 사업)하는 4대 사업
방향성을 제시했다.
또한 전략적 제휴, 전용 모델 공급 등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사업자와의
관계를 강화하며, 외부 Resource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제한된 자원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팬택은 4개 사업을 중심으로 2016년 사업을 재개하여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매출을 회복하고 2017년 Turn-around를 이뤄 2018년 이후 누적 흑자 전환으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간다는 목표를 세웠다.
새로운 팬택은 2016년 하반기 본격적인 매출 발생을 시작으로 2018년 1조 5천억원까지
매출을 끌어올려 명실상부한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종합 모바일 디바이스 회사로
거듭날 계획이다.
[4대 사업 달성 전략]
1. 국내 스마폰 사업
국내 스마트폰 사업의 경우 물량은 제한적으로 가지고 가되, 충성 고객 확보,
기술 및 마케팅 Trend 일류 수준 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16년은
시장 재진입을 위해 주력사업자와의 공조를 통해 시장재개에 성공하고 Mid Tier로
Positioning하여 사업을 지속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2. 해외 JV 사업
해외사업은 기존 선진시장은 Risk가 적은 사업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추진하고,
신흥시장은 현지기업과의 JV 형태로 추진한다. ’16년은 서비스 & 컨텐츠 Needs에
부합한 단말기 개발, 기술역량 이전을 통한 현지화된 조인트벤처 설립, 신규 SCM(Supply
Chain Management) 및 개발효율 향상으로 원가절감,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에 적합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인도네시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고
’17년 이후는 인도네시아 국민시리즈 확대, JV 확대, 사업 다각화, 미래 성장동력
확보 아이템을 지속 발굴하여 안정적으로 성장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3. IoT 사업
IoT 사업은 ’16년에는 모듈 사업 중심 운영을 통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17년 IoT 디바이스 신규 출시, 플랫폼 표준화를 통한 사업자 응용
제품군 출시, ‘18년 통신/센서 결합 디바이스 확장 등을 통해 성장 가능성이 있는
사업 영역으로 육성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4. Wearable Device 사업
Wearable Device 사업은 IoT device 완제품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제품차별화의
중요 요소인 key 부품 및 핵심 기술확보와 함께 가격 경쟁력 개선을 지속 추진해
나아갈 계획이다.
NEW 팬택호를 이끌고 있는 문지욱 신임 사장은 맺은말을 통해 “2018년 매출 1.5조억원,
영업이익 5% 수준은 결코 쉽지는 않지만 달성 가능한 목표로 이는 우리 스스로가
만들어 가는 것이며, 회사 정상화 이후 결실은 반드시 구성원과 나눌 것이다”라며,
“경영정상화는 우리 회사의 가장 큰 자산인 우수한 인적 구성원 전체의 참여와 몰입이
있어야만 더욱 빨라질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2015년 7월 M&A 본계약 체결, 10월 중앙지방법원에서 제2, 3차 관계인 집회를
열고 회생계획안 승인 및 법원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 NEW 팬택은 12월 1일 조직개편
단행, 지난주 자리 재배치 완료 후 오늘 공식적인 출범식을 가짐으로써 새로운 출발을
위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