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버튼식 지문인식을 대체할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모듈이
개발됐다. 이 모듈이 적용된 스마트폰은 앞면의 강화유리를 터치하면 지문인식을
할 수 있다.
2일 LG이노텍은 강화유리에 지문인식센서를 내장한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모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스마트폰 지문인식모듈은 원형이나 사각형 센서가 스마트폰
겉면에 장착된 버튼형이다. 센서가 사용자의 손에 직접 닿아야 정확히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LG이노텍가 개발한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모듈은 강화유리 하단
뒷면에 깊이 0.3밀리미터(mm)의 얕은 홈을 파고 그 안에 센서를 부착한 제품으로
강화유리에 손을 대면 지문을 감지한다.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모듈은 센서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아
매끄러운 디자인의 지문인식 스마트폰을 구현하기 좋으며 고강도 강화유리가 센서를
감싸고 있어 방수?방진 설계에 유리하다. 외부 충격이 센서에 직접 닿지 않아 파손에
따른 오작동 위험도 적다.
이 제품의 보안성은 버튼형 지문인식모듈 못지 않게 뛰어나다.
다른 사람 지문을 등록된 사용자의 것으로 잘못 인식할 확률이 0.002%로 사실상 제로
수준이다. 또, LG이노텍은 센서 장착을 위해 강화유리 뒷면 일부를 깎아냈지만 두
부품의 접착면에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고분자 특수 소재를 넣어 상용화 수준의 고강도를
확보했다.
LG이노텍은 "두 부품의 접착면 유리 두께가 0.25mm로 얇지만
스마트폰 무게 수준인 130그램(g)의 쇠구슬을 20센티미터(cm) 높이에서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제조업체는 원하는 강화유리 브랜드를 선택해
글라스 일체형 지문인식모듈로 공급 받을 수 있다. LG이노텍이 협력사와 함께 세공
기술을 공동 개발해 어느 브랜드나 맞춤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LG이노텍은 지문인식기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신규 고객 확보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지문인식모듈의
전세계 출하량이 지난해 4억 9,900만 개에서 2020년 16억 개로 3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