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 톡톡, 예약, 분석도구, 로그인 등 중소규모의 개발사들이 구축하기 쉽지않은 비즈니스 솔루션을 공개해 스타트업들이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하는 오픈 플랫폼 전략을 취해온 네이버가 지도 API 정책에도 문을 활짝 열었다.
네이버는 지난 11일, 웹과 앱 구분 없이 지도 API의 무료 사용량을 대상 제한 없이 하루 20만 건으로 확대하고, 11월 1일부터 시스템 상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웹 API의 무료 제공량 20만 건은 국내 최대 규모다. 기존 무료 제공량은 앱의 경우 하루 5천 건, 웹은 하루 10만 건이고, 상업적 이용 시에는 별도 제휴 절차를 밟아야 했다.
네이버 지도 API 사용 현황(8월 기준)에 따르면 하루 평균 20만 건 이상을 기록한 기업은 7곳 정도로 나타나, 앞으로 대다수 사업자들은 제휴 절차 없이 무료로 지도 API를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맛집 검색 스타트업인 다이닝코드는 지도 API를 구글에서 네이버로 바꿀 예정이다. 다이닝코드 관계자는 "웹에서의 지도API 무료 제공량이 타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네이버를 선택하게 됐다"며, "매월 최소 100만 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돼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가격 정책 개선뿐 아니라 기능 개선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네이버 지도 웹 API의 라이브러리 용량 최적화,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 지도 화면 맞춤화, 360도 파노라마 뷰 기능 추가, 지적편집도, 교통상황, 데이터레이어 등 제공하는 지도 유형 다양화 등 기능을 개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