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국토교통부는 지난 1년간 국내에서 제작ㆍ판매된 8개 신차에
대해 차량 유해물질을 조사한 결과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을 모두 충족했다고 발표했다.
국토교통부는 신차의 실내 내장재에 사용되는 소재 및 접착체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줄이기 위해 2011년부터 실내공기질을 평가하고 있다.
올해는 기아 자동차의 K3, K9 및 스토닉, 현대 자동차의 벨로스터,
싼타페 및 G70, 르노 삼성의 QM6, 한국 지엠의 말리부를 대상으로 폼알데하이드,
톨루엔 등 7개 물질의 권고 기준 충족 여부에 대해 측정하였다.
지난 ‘11년 일부 차종이 톨루엔 권고 기준치를 초과했으나,
’12년부터는 모든 국내 생산 자동차가 신차 실내 공기질을 양호하게 관리하고 있다.
한편, 내년부터는 평가 방법·물질 등을 강화하여 최근
마련된 국제기준과 동일하게 실내공기질을 조사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