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 128단 1Tbit(테라비트) TLC(Triple
Level Cell) 4D 낸드플래시를 개발하고 양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작년 10월 96단
4D 낸드 개발 이후 8개월만이다.
SK하이닉스가 이번에 양산하는 128단 낸드는 업계 최고 적층으로,
한 개의 칩에 3bit(비트)를 저장하는 낸드 셀(Cell) 3천6백억개 이상이 집적된 1Tb
제품이다. SK하이닉스는 이를 위해 자체 개발한 4D 낸드 기술에 ▲ 초균일 수직 식각
기술 ▲ 고신뢰성 다층 박막 셀 형성 기술 ▲ 초고속 저전력 회로 설계 등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했다.
또, 이번에 개발한 128단 1Tb 4D 낸드는 웨이퍼당 비트 생산성이
기존 96단 4D 낸드 대비 40% 향상됐다. 또한 같은 제품에 PUC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도 비트 생산성이 15% 이상 높다.
낸드 기술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개발 난이도도 높아지고 있으며
생산 공정수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SK하이닉스는 동일한 4D 플랫폼을 활용해
제품을 개발했고 공정 최적화를 통해 96단 대비 셀 32단을 추가 적층하면서도 전체
공정수를 5% 줄였다. 이를 통해 128단 낸드로의 전환 투자비용을 이전 세대에 비해
60% 절감할 수 있었다.
특히, 작년 10월 세계 최초로 개발한 CTF 기반 96단 4D 낸드
공정 플랫폼을 그대로 활용해 96단 이후 8개월만에 128단 제품을 개발했다는데 의미가
크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이번에 양산을 시작한 128단 4D 낸드플래시를 하반기부터
판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