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 로그인 ㅣ 회원가입/재인증
자동차 게임 디스플레이 가전 AV기기 디카/캠코더 스포츠 인터넷/SNS
Home 라이프 디스플레이 기획특집

LG전자가 제기한 QLED TV 선명도 문제, 진짜인가?

2019/09/18 16:35:26

 
 Tweet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화질 논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OLED의 버닝 문제라던가 RGBW 패널의 해상도 문제, QLED의 네이밍 문제, LED 백라이트의 화질 한계 등 이미 수 많은 논쟁들이 오고 갔다.

하지만, 그 때마다 서로의 주장만 오고 갈 뿐 실질적인 검증이나 판단은 오롯이 소비자 몫으로 남는 경우가 많았다. 이번에 제기 된 선명도 문제도 LG전자가 좀 강하게 나오긴 했지만 삼성전자 나름대로 방어에 나서면서 어물쩍 넘어갈 분위기다.

그래서 LG전자가 주장한 선명도 문제가 무엇인지, 삼성전자의 반박은 설득력이 있는지 간단히 정리해 볼까 한다.

 

■ LG전자가 제기한 선명도 문제, 진짜인가?

LG전자가 제기한 선명도 문제는 2019년도 QLED TV를 대상으로 한다.

기사를 통해 자세한 설명이 나온 건 아니지만 2019년도 QLED TV 중 시야각 개선 패널이 적용된 4K 프리미엄 모델과 같은 기술이 적용된 8K QLED TV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는 주장이다.

LG전자가 내세운 국제디스플레이계측위원회(ICDM) 기준으로 보면 화질선명도가 50% 이상은 되야 하는데 문제가 된 삼성 QLED TV 들은 12% 밖에 안 된다고 한다.

이에 대해 삼성은 화질선명도로 해상도를 판단하는 것 자체가 흑백 TV 시절에나 썼던 기준이라며 화질에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다.

선명도가 낮은 이유나 이에 대한 직접적인 반박보다 기준 자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것인데 양쪽 주장을 판단하기 위해 아주 적절한 리뷰가 있다. 

▲ Flatpanelshd 기사 중 Q90R 리뷰 일부

Flatpanelshd가 5월 7일 게재한 Q90R 리뷰를 보면 LG전자의 주장을 입증한 내용들이 비교 이미지와 함께 정리되어 있다.

내용들을 정리하면 Q90R 같이 'Ultra Viewing Angle' 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은 시야각이 확대되지만 이 기술을 위해 패시브 필름 뿐만 아니라 서브 픽셀 랜더링 기술이 함께 적용되면서 유효 해상도가 줄어드는 현상이 있다는 것이다.

유효 해상도가 떨어지는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지만 Flatpanelshd가 촬영한 소니 A9F OLED와의 1:1 비교 이미지에서 그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 보면 소니 AF9 OLED는 모든 픽셀에 빈틈이 없는 반면 삼성 Q90R은 과거 인터레이스 영상 처럼 수평 방향으로 블랙 라인이 하나씩 포함된 것 처럼 보인다. 일부 영역에선 사선 형태로 픽셀이 하나씩 빠진 모습도 보여 전체적으로 봐도 풀 픽셀로 제어 되는 AF9 OLED 보다 선명도가 낮을 수 밖에 없어 보인다.

사실, Flatpanelshd에서 지적한 서브 픽셀 랜더링은 과거 2017년 HDTVtest에서 QLED TV의 시야각 개선을 주제로 이야기 했던 내용이기도 하다.

그 때도 Dual Pixel Structure로 불렀던 서브 픽셀 랜더링이 시야각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과 함께 십자 방격(cross-hatched) 현상에 대한 우려가 담겨 있었다. 하지만 해당 기사에선 그러한 결점 보다 넓은 방을 가진 사용자에게 돌아 갈 혜택이 크다고 정리된 바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선명도 하락 현상은 원래 사용했던 서브 픽셀 랜더링 기술에 패시브 필름을 통한 시야각 개선 기술까지 더해지며 문제가 된 것이 아닌가 싶은데 어쨌거나 LG전자의 문제 제기가 단순 비방이나 근거 없는 주장이 아니라는 점은 분명한 듯 싶다.

 

■ 화질선명도 문제, 해법은 있다

▲ Rtings의 해상도 설명 중 서브픽셀 디더링 항목

'Ultra Viewing Angle' 기술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은 삼성전자도 인지한 것 같다.

블랙과 시야각 개선에 도움은 되지만 1픽셀 단위의 텍스트 까지 표현해야 할 PC 모드나 인풋렉을 최소화 하기 위해 후처리를 최대한 줄인 게임 모드에선 서브 픽셀 랜더링이 작동하지 않게 만들었다는 것을 Flatpanelshd와 Rtings가 확인했다.

이 말인 즉, 삼성전자가 소프트웨어만 수정하면 선명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서브 픽셀 랜더링을 끄게 되면 암부 디테일이 떨어지고 블랙이 타격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약간의 선명도를 희생하더라도 기존 처럼 사용하는 것이 화질 면에서 더 나은 선택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부분은 Flatpanelshd의 Q90R 리뷰에서 게임 모드와 영화 모드 차이를 비교한 이미지를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참고로, Rtings는 제품 리뷰가 아닌 해상도 설명에서 RGBW로 문제가 됐던 LG UK6300과 함께 삼성전자의 Q90/90R을 따로 구분해 놨는데 이런 제품들은 수평 시야각을 개선하기 위해 디더링으로 알려진 기술로 일부 서브 픽셀을 흐리게 만들지만 RGBW 만큼 눈에 띄지 않고 비활성화 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 픽셀로 장난치지 말자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은 많다. 하지만 픽셀 자체를 희생시키거나 변형시켜 얻어진 기술이라면 득 보다 실이 많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소비자들은 여전히 R,G,B 구조에서 벗어나는 것을 거부하고 있고 이 구조에서 벗어난 접근 방식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크다.

휘도를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낸 RGBW 패널도 그랬고 청색 소자의 수명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한 WOLED가 여전히 논쟁의 대상으로 남아 있는 것도 RGB 구조에서 벗어난 다른 접근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삼성전자의 Ultra Viewing Angle과 이 기술이 적용된 2019년형 QLED TV도 다른 식의 접근을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다.

시야각에 대한 직접적인 대안은 아니지만 수천에서 만여개 단위로 백라이트가 적용 되는 미니 LED 백라이트나 흑백 패널을 추가한 듀얼 레이어 LCD 같은 더 나은 선택들도 현실화 되고 있으니 말이다.

어차피 OLED로 넘어갈 삼성전자라지만 LCD TV 시장에서 선두 자리는 고수해야 되지 않을까 싶은데 내년 만큼은 근본적인 해법으로 이런 논란에서 벗어나길 기대해 본다.

Tweet
More Sharing Servicesmore

#QLED TV, #삼성전자, #LG전자


케이벤치 많이 본 기사
  [뉴스] AMD, 소프트웨어가 지원하는 한 CPU 코어는 추가할 예정
  [뉴스] 삼성전자, '갤럭시S10' 5G 모델 안드로이드 10 업데이트
  [기획] 18코어 CPU가 반값! HEDT 프로세서, 인텔 코어 i9-10980XE
  [뉴스] 인텔 차세대 7nm CPU 시험 제품, 삼성한테 위탁 생산하나?
  [뉴스] 캔스톤, LED라이트닝 게이밍 블루투스 S5BT 스피커 출시
  [기획] 4K 시대를 함께할 가성비 넘치는 65인치 TV, 더함 코스모 C651UHD IPS HDR 2020
  [기획] [지스타 2019] 엄마 아빠 손잡고 렛츠 브롤, 슈퍼셀 브롤스타즈 부스
  [뉴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10 모바일 제품 지원 종료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케이벤치 미디어국. www.kbench.com 인쇄 목록 위로
이우용 기자 / guygun@kbench.com

연관기사 보기
  '갤럭시S11' 카메라 新기능…비디오 프로 모드 포착
  삼성전자, 유럽서 초박형 강화유리 상표 출원.. 갤럭시폴드2 탑재 유력
  삼성전자, 2020년형 '갤럭시 M11·M31' 개발 착수
  삼성전자 사장, '2천달러 갤럭시 폴드 100만명이 구입'
  삼성 보급형 '갤럭시 M20·M30' 인도서 안드로이드 10 업데이트 시작
  삼성 '갤럭시폴드 5G' 한정판 중국서 출시되자마자 매진
  미리보는 갤럭시S11…삼성전자, 중급폰 '갤럭시 A51·A71' 발표
  '갤럭시S9·노트9' 미국 언락폰 안드로이드 10 베타 출시
케이벤치
케이벤치 기사를 네이버 포스트에서 만나보세요

이제 케이벤치 기사를 스마트폰/타블렛에서도 네이버 포스트로 쉽게 만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포스트 바로가기
검은튤립

이렇게 하기 때문에 세계 판매량이 높은건가...
  • 로그인이나 등록한 후에 댓글을 작성하세요
2019/09/20 - 10:52
추천컨텐츠
케이벤치 이벤트/공지사항
 
[이벤트][댓글 이벤트] 세대중 최고의 가성비, 라이트 유저에게 적합한 인텔 i
[이벤트][댓글 이벤트] F 시리즈 등장 그리고 변화를 선택한 2019년 인텔
[공지사항][이벤트] 인텔과 AMD의 대표 라인업 성능대결,코어 i5-9600K
[공지사항][이벤트] 18코어 CPU가 반값! HEDT 프로세서, 인텔 코어 i
[이벤트][댓글 이벤트] 18코어 CPU가 반값! HEDT 프로세서, 인텔 코어
[공지사항][이벤트] 진성 6코어 간의 대결,AMD R5 3500X와 Intel

케이벤치 많이 본 기사 TOP 10
뉴스
기사
리그오브레전드(롤) 11일 점검…·서버 안정화 및 9.24 패치 적용
인텔 CPU 오버클럭커들 보안 비상?, 수동 전압 입력시 보안 취약점 발생
디아블로4, PVP는 디아블로2에서 영감을 찾고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중
애플 'iOS 13.3' 정식 업데이트 이번주 공개되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10 모바일 제품 지원 종료
인텔 차세대 7nm CPU 시험 제품, 삼성한테 위탁 생산하나?
샤오미 중급 스마트폰 '홍미노트 8T' 12일 국내 출시 가능성
삼성전자, '갤럭시S10' 5G 모델 안드로이드 10 업데이트
[영상] 리그오브레전드(롤), 9.24 패치노트 하이라이트 공개.. 신규 챔프 아펠리오스 전장 합류
AMD, 소프트웨어가 지원하는 한 CPU 코어는 추가할 예정
뉴스
기사
쨍한 화면의 4K OLED 노트북, New AERO 15N OLED 리미티드 에디션
18코어 CPU가 반값! HEDT 프로세서, 인텔 코어 i9-10980XE
인텔과 AMD의 대표 라인업 성능대결,코어 i5-9600KF vs 라이젠 5 3600
씨게이트 레스큐와 함께하는 데이터 보안과 예방 세미나 성료
[지스타 2019] 엄마 아빠 손잡고 렛츠 브롤, 슈퍼셀 브롤스타즈 부스
4K 시대를 함께할 가성비 넘치는 65인치 TV, 더함 코스모 C651UHD IPS HDR 2020
라이젠의 진화 이젠 온도와 전력 감소까지,라이젠 마스터 ECO 모드 맛보기
6개의 쿨링팬과 디자인, 내구성까지 갖춘 가성비 케이스, darkFlash POLLUX RGB 강화유리
AMD 라이젠 사용자라면 선택아닌 필수, 국민 메모리 오버클럭 한번 해보자
F 시리즈 등장 그리고 변화를 선택한 2019년 인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