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KT가 5G 단독모드(SA)와 비단독모드(NSA)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핵심망(코어망)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현재 마무리 점검을 진행 중인 만큼 조만간 5G SA 상용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국내에서 5G는 NSA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NSA는
제어 부분은 LTE망, 데이터 부문은 5G망으로 분리 서비스하는 반면 SA는 제어와 데이터
모두 5G망으로 처리한다. SA는 LTE망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NSA 방식에 비해 지연시간이
단축되고, 배터리 소모가 적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A 서비스로 전환을 위해서는 3GPP(국제이동통신표준화협력기구)
SA 국제표준에서 정의한 SA 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장비를 개발, 도입해야 하지만
KT는 CUPS(Control & User Plane Separation)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SA 서비스를
위해 별도로 코어망을 구축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혔다.
KT는 지난해 4월 NSA 기반의 5G 상용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국내
통신사업자 중 유일하게 NSA 코어망에 CUPS 기술을 도입해 SA를 통합 수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이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국내 최초로 NSA와 SA 규격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KT만의 '5G 통합 코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CUPS는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와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를 분리해 각각 독립적으로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진보된 표준기술이다. CUPS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NSA 코어망의 경우 SA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코어망을 구축해
기존 NSA 코어망과 연동해야 한다. 하지만 KT는 5G 통합 코어 기술을 토대로 신규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 설치, 운용 중인 NSA 코어 장비에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 SA 서비스까지 함께 수용할 수 있게 됐다.
KT가 '5G SA-NSA 통합 코어망' 구축을 위해 삼성전자와 설계
단계부터 긴밀하게 협력했다. 여기에는 원거리 표준 CUPS 구조, 5G 통합 세션 관리,
가상화 인프라 통합 오케스트레이션(편성, Orchestration), 서비스 맞춤형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초저지연 에지(Edge) 통신센터 접속 제어 등 SA 핵심기술을
적용했다.
KT는 "5G 통합 코어 기술을 전국 8개 에지 통신센터에 적용할
방침"이라며 "이를 통해 에지 통신센터 기반의 전국 5G 통합 코어망으로
SA 이용자들에게 5G 초저지연 서비스를 신속히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