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우수한 성능,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ALi
|
CPU
|
AMD Athlon 64 3200+ (FSB 200MHz) |
Memory
|
Kingmax DDR 400MHz SDRAM 256MB x2 |
Mainboard
|
ALi M1687 Reference Board
|
비교대상 Mainboard
|
GIGABYTE K8NNXP (NVIDIA nForce3 150)
|
VGA
|
SUMA GeForce FX 5900S VIVO
|
HDD
|
시게이트 바라쿠다4 ST340016A (40GB, 2MB Buffer)
|
OS
|
영문 Windows XP Professional SP1
|
Driver
|
DirectX 9.0b NVIDIA Detonator XP v45.23 (WHQL Certified) ALi
Integrated Driver v2.05 NVIDIA nForce Unified Driver
v3.33
|
테스트 시스템은 위와같다. 비교대상은 본격적인 경쟁상대라 할 수 있는 nForce3
150 칩셋 채용 리테일 보드로 선택하였다.
CPU Performance


Sandra 2004 버전으로 CPU 성능을 체크해 보았다. CPU 자체가 동일하기 때문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지만, ALi 메인보드의 성능이 약간 앞서고 있는 것이 상당히
이채롭게 느껴진다.
Memory Performance

메모리 성능은 어떠할까 ? 역시 Sandra 2004 버전으로 기본적인 메모리 대역폭을
확인해 보았는데, CPU 결과에 이어 이번 테스트에서도 ALi 레퍼런스 보드의 우위가
확인되었다. 물론 그 차이는 미소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체감하기는 힘든것이 사실이지만,
현재 Athlon 64 플랫폼에서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nForce3 보드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시한다는 사실은, ALi M1687 칩셋과 이와 관련된 메인보드의 레퍼런스 디자인이
의외로 높은 완성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거하는 결과일 것이다.
nForce3 칩셋의 경우 단일 칩셋으로 제작, 최소화된 레이턴시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성능을 강화시켰다는 메리트를 강조하고 있지만, ALi M1687 칩셋은 기존의 듀얼칩셋
방식으로 보드를 디자인 하더라도, 내부적인 완성도를 더욱더 강화시킨다면 충분히
높은 성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뉴스 - AMD8151
HT 터널과 ALi M1687 HT 터널은 동일
상기의 뉴스를 읽어본다면, Ali M1687 레퍼런스 보드가 왜 높은 성능을 제시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다. 본문상에 나와 있듯이 ALi M1687 노스 브릿지는 사실상 AMD8151
칩셋과 동일한 칩셋이기 때문에, nForce3 칩셋보다 높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NVIDIA 의 nForce3 칩셋 역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완성도를 제공하는
칩셋임에는 분명하지만, Athlon 64 프로세서를 제조하고 하이퍼트랜스포트 원조 기술(?)
을 가지고 있는 AMD 보다는 칩셋 개발조건이 부족하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상에서는
ALi M1687 칩셋이 보다 최적화된 성능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은 ALi 에게 상당히 자신감을 심어주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이러한
이슈가 보편적으로 알려져 nForce3 150 의 강력한 경쟁상대로 ALi M1687 칩셋이 언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HDD Performance

HDD 제어성능 역시 전반적으로 비슷하다. 이번 테스트에서도 ALi 보드가
약간 앞선 성능을 보이고 있어, 성능상으로 보면, Athlon 64 지원 솔루션에서 상위레벨에
도달해 있는 칩셋임을 강조하고 있다.
Application Performance


▲ ALi M1687 Reference Board Score

▲ GIGABYTE K8NNXP Retail Board Score
CCWinstone 2003 으로 일반적인 프로그램 처리성능을 체크해 보았다. CPU/Memory/HDD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았다면 쉽게 유추가능하겠지만, 역시나 근소한 차이로 ALi M1687
레퍼런스 보드의 성능이 앞서고 있다. CPU 점유율 결과값을 고려한 해석을 덧붙이자면,
동일한 CPU 를 사용하더라도 ALi 레퍼런스 보드가 보다 낮은 CPU 점유율에 높은 프로그램
처리성능를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성능면에서도 효율성면에서도
상당히 칭찬받을 만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제품이다.
3D Performance

3DMark03 으로 테스트한 3D 가속성능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근소한 차이지만
ALi 레퍼런스 보드가 앞선 성능을 제시하고 있고, nForce3 보드는 그 뒤를 따르고
있다. 더이상의 부연설명은 필요없을 듯.
▒ 우수한 성능 확인, 대중화는 성공할 것인가 ?

ALi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 저마다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겠지만,
필자의 생각으론 대중적인 인지도가 다소 부족한 보급형 칩셋 공급업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고
생각한다. 대중의 시선을 끌지 못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성능상으로 소비자의 시선을 확 끌어당기지 못한 것에 원인이 있다고 볼수
있다. 아무리 저렴하더라도 성능상으로 메리트가 적다면, 소비자들의 인식은 당연히
저가형 혹은 보급형 칩셋이라는 색안경으로 관련 제품을 바라보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 ALi 가 선보인 M1687 솔루션은 시작부터 범상치가 않다. 레퍼런스
보드임에도 불구하고, 보드의 기본적인 성능은 nVIDIA 의 nForce3 솔루션과 대등한
레벨을 자랑하고 있으며, 테스트에 임하여서도 특별한 장애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안정성에
관한 부분은 오랜기간 테스트 기간이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확실한 결론을 내릴수는
없지만, 성능상으론 현재 출시되고 있는 Athlon 64 솔루션 중에서 상위레벨에 도달해
있는 기종임에는 분명하다. (적어도 필자가 테스트 한 Athlon
64 보드중에서는 가장 빨랐던...) 더불어 AMD 에서 직접 제조한 AMD8151 칩셋과
동일 칩셋이라는 사실은 ALi M1687 칩셋의 판매고에 상당히 높은 영향력을 끼칠수
있는 요소이다.
결국 하나의 문은 열린 셈이다. 성능상의 메리트는 확실하므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다양한 업체에서 ALi M1687 칩셋을 채용한 보드를 출시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준다면, M1687 칩셋은 기존의 ALi 칩셋의 저가형 이미지들을 깨끗하게 개선시킬수
있는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성능상의 메리트와 함께
호환성과 안정성에 대한 보편적인 자료가 제시된다면 부족함이 없겠지만, 역시 이
부분은 시간의 흘러 리테일 제품이 출시된 이후에야 적절한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아무쪼록 차후 출시되는 리테일 제품들은 더더욱 우수한 성능과
호환성으로 무장하여, 우수한 가격대 성능비를 보여주는 솔루션으로 성장하기를 바라며,
ALi M1687 레퍼런스 보드에대한 리뷰를 마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