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들과 학생들 그리고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스마트 기기가 있다고 한다면, 아무래도 스마트폰이 대표적이지
않을까 싶다.
특히 최근엔 코로나19 여파와 늘어난 재택근무와 화상회의 및 온라인 강의 등으로 인해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노트북과 태블릿 PC와 같은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의 활용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해당 스마트 기기들의 네트워크 역할을 해주는 WiFi의 활용과 사용도 당연히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엔 늘어난 WiFi 기기들에
대응하여 보다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 최신 WiFi
6 규격이 등장하여 보급되고 있으며 차세대 WiFi 6E라는 새로운 규격도 등장하고 있다.
금번 리뷰에서 살펴볼 넷기어 RAXE 500 제품이 바로 앞선 차세대 WiFi 6E에 대응하는 공유기인데, 기존 WiFi 6와는 어떤 점이
차별화 됐으며 실제 제품의 성능은 어떤지 등을 살펴볼까 한다.
■ 새로운 주파수 대역 6GHz를 채용한, 넷기어 RAXE500

먼저는 WiFi 6E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하는데 기존 WiFi 6랑 무엇이 달라졌는지에 대해서 짧게나마 정리해 볼까 한다.
WiFi 6E란 필자가 소제목에 적었듯이 "새로운 주파수 대역인 6GHz"를 채용한 것이 WiFi 6E다.
이에 따라 WiFi를 이용할 수 있는 채널과 대역폭이 늘어나서 기존 WiFi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있어서도 더 많은 트래픽 처리 용량을
제공하며, 장치들 간의 발생되는 주파수 간섭등에 있어서도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만큼 그 간섭이 줄어든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5GHz와 같은 원리로 6GHz는 주파수 대역 특성상 2.4GHz 주파수 대역 대비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6GHz지만, 전파의 직진성 또한 강해져 도달 거리가
좁아진다(시멘트 벽이 있는 사용환경에선 속도 저하가 심함)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WiFi 6E를 지원하는 금번 넷기어 RAXE 500이 6GHz 주파수
대역폭만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2.4GHz 주파수 대역과 5.0GHz 대역을 기본적으로 지원하며 앞서 정리한 WiFi
6E인 6.0GHz 주파수 대역폭을 추가로 지원하는 만큼, 총 2.4GHz, 5.0GHz, 6.0GHz로 총 3개의 주파수 채널을 지원하며
이에따라 각자의 사용하고자 하는 기기에 따라 주파수 채널을 다르게 연결하여 보다 쾌적한 WiFi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다.
■ 고급스러운 블랙 색상, 8개의 폴더블 안테나를 탑재한 넷기어 RAXE500

앞선 내용이 WiFi 6E에 대한 설명이었다면 본론으로 돌아와 넷기어 RAXE500를
본격적으로 살펴보자.
제품의 디자인으로는 기존 넷기어 최상위 모델라인업이었던 RAX200와 비슷한 고급스러운 블랙
레이아웃을 적용했으며, 양쪽 날개에는 총 8개의 폴더블 안테나를 탑재했다.

이어서 후면의 Lan 포트의 구성으로는 총 6개의 Lan 포트가 제공되며 맨 우측에 위치한
한개의 포트를 제외한 5개의 포트는 모두 1Gbps의 스펙을 가지고 있다.
다만 기본 WAN 포트 + 1번 LAN 포트 또는 3 + 4번 LAN 포트의 결합인 링크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고 있어, 상황에 따라 2Gbps의 네트워크 구성도 가능하니 이러한 방법도 잘 참고하여 활용해 보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맨 우측에 위치한 멀티기가포트의 경우엔 2.5Gbps의 스펙을 가지며 넷기어측에서는
해당 2.5Gbps의 포트는 WAN포트 또는 LAN 포트로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으며, 그외로 좌측에 위치한 USB 3.0 포트를 통해 간이
NAS와 같은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공유기의 LED로는 현재 연결되어 있는 LAN 포트 및 활성화된 WiFi 주파수 대역폭
등이 점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공유기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게 해주었다.

그리고 제품의 중앙 부분에는 사진과 같이 메시처리가 되어있어 효율적인 발열 케어 솔루션을
적용했으며, 넷기어 RAX500E는 여기에 더해 추가로 온도 감지센서에 따라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동작하는 소형 쿨링팬을 추가로 장착하여 성능
하락의 요소가 되는 발열에 있어 최적의 사용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했다.
■ 전용 소프트웨어 Nighthawk를 통한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

아울러 현재 공유기의 상태와 및 WiFi 네트워크 상태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넷기어 전용
소프트웨어인 Nighthawk도 제공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한 후, 해당
넷기어의 WiFi 연결과 동기화 셋팅을 마무리 지으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장치부터 WiFi 네트워크 상태와 연결된 채널과 같은 WiFi
분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속도 측정은 물론 현재 WiFi 채널에 따른 주파수
대역폭 등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에 있어 가장 최적화된 네트워크가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어 현재 개인이
사용하는 환경에 있어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셋팅을 할 수 있다.
■ WiFi 6E 대응, AXE11000 스펙을 가진 넷기어 RAXE500

최신 WiFi 6E 지원 공유기인만큼 무선 WiFi 스펙에 있어서도 넷기어 RAXE500은
매우 고스펙인 AXE11000을 가지고 있으며, 상세한 무선 스펙은 다음과 같다.
먼저는 2.4GHZ 주파수 대역인데 최대 1.2Gbps 스펙을 가지며 5GHz 대역폭은
4.8Gbps 그리고 6GHz 대역폭에서도 4.8Gbps의 무선 스펙을 가지고 있다.
즉 넷기어 RAXE500은 총 3개의 주파수 대역폭을 지원하는 만큼 구형 기기와 스마트
IoT와 같은 기기는 2.4GHz으로, 기존 태블릿 PC와 같은 기기들을 기존 5GHz의 대역폭을 연결하면되며 6GHz의 경우엔 해당 WiFi
6E를 지원하는 최신 스마트폰 및 노트북에 연결하여 기기간의 발생하는 전파 간섭 등에 있어 최소화 하여 최적의 성능을 노려볼 수 있다.
■ WiFi 6E 실제 성능 측정, 5GHz vs 6GHz 대역폭 그 차이는?

그렇다면 6GHz 대역폭과 5GHz 대역폭의 성능적 차이는 있을까? 이를 확인하기 위해 준비해
봤는데, 아직 6GHz에 대응하는 별도의 스마트 기기가 없어 WiFi 6E를 지원하는 인텔 12세대 Z690 플랫폼간의 2.5Gbps를 기준으로
확인을 했으며 사용한 소프트웨어로는 Iperf3를 통한 내부 네트워크 속도 측정으로 진행했다.
먼저는 6GHz 대역폭에서의 벤치마크인데 무선 네트워크 링크 속도는 2.4Gbps로
연결되었으며 실제 측정했을 때의 평균 속도는 1.36Gbps에 맥시멈 속도 1.53Gbps로 측정됐다.
무선 네트워크 특성상 일부 데이터 손실이 있는 만큼 일정 부분 약간의 WiFi 무선 네트워크
성능 손실을 보여준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5GHz 주파수 대역폭에 연결한 후 동일한 2.4Gbps 링크속도로 벤치마크를
진행해봤다.
벤치마크 결과 준비해온 자료와 같이 평균 1.07Gbps에 최대속도 1.46Gbps으로 측정이 되었는데,
전반적으로 WiFi 6GHz 대비 소폭 더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아무래도 사무실 환경에 있어 별도의 5.0GHz 채널 대역폭이 겹치면서 무선 신호간섭 등이
발생하여 이러한 결과를 보여준 것으로 보이며, 금번 벤치마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무선 네트워크의 주파수 간섬이 있는 5.0GHz 보다는
확실히 6.0GHz 주파수 대역폭의 성능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금번 RAXE500을 활용하여 브로드컴측에서 테스트한 자료에서는 2.01Gbps로
필자의 테스트 보다 더 좋은 성능을 기록한 벤치마크도 확인됐다.
이에 따라 브로드컴과 필자의 테스트 환경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는데 필자의 경우 WiFi 6E 지원하는
메인보드의 인텔 칩셋(WiFi 6E AX210)을 기반으로 한 반면, 해당 브로드컴 벤치에선 브로드컴사의 BCM4389칩이 적용된 삼성 갤럭시
S21 ULTRA 5G 로 진행하여 이루어진 만큼 일부 테스트 기기에 따른 성능 차이가 일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최신 WiFi6E 대응하는 넷기어 RAXE500, 차세대 WiFi 6E 네트워크를 구축해
보자

금번 리뷰에서 소개하고 살펴본 넷기어 RAXE500는 기존 넷기어 공유기에 있어 플래그십
라인업에 있던 RAX 200의 차세대 버전으로, 6GHz 주파수 대역폭을 추가한 차세대 WiFi 6E 지원 공유기다.
그에 따라 AXE11000 무선 스펙에 대응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WiFi 무선네트워크 사용
환경에 있어서도 인프라를 잘 구축하면, 앞선 WiFi 벤치마크에서 살펴볼 수 있었듯이 기존 5.0GHz 주파수 대역폭보다 훨씬 더 빠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모델이다.
물론 가격에 있어서는 기존 RAX200 대비 100$ 비싸진 599$(한화 약 72만원)으로
출시되었지만, 최신 WiFi 6E인 6GHz 주파수 대역폭을 추가로 활용하여 보다 쾌적한 WiFi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니 이러한 요소를 고려해
본다면 어느 정도는 감안할 만한 요소가 되지 않을까 싶다.
때문에 상기의 장점과 단점을 가진 넷기어 RAXE500은 일반적인 소비자 보다는 보다 고성능을
보여주는 WiFi 모델을 찾거나, 혹은 차세대 WiFi 6E에 대응하는 스마트 기기들을 구매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있어 새로운
선택지가 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