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상반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2 시리즈의 출시
초기 3개월 간 글로벌 판매량에서 전작인 갤럭시S21 시리즈를 5% 이상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갤럭시S22
시리즈 합산 판매량은 출시 첫 달, 둘째 달에 전작 수준을 두드러지게 능가했다가
셋째 달에는 다소 내려앉았다.
S22 시리즈 집계 기간인 올 2~4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모두 전년동월 대비 10% 전후 역성장하며 전세계적인 소비 위축을 반영한 점을 고려하면,
삼성전자의 신규 플래그십 라인업은 전작보다 분명한 초반 강세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카운터포인트는 "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 이른바 GOS 논란이
출시 직후부터 불거지며 실적에 대한 우려도 있었으나 적어도 글로벌 기준 초기 판매량에는
큰 타격으로 직결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모델별로는 갤럭시S22 울트라가 시리즈 전체 판매량 중 57%를
차지하며, 전작에서 비중이 38%에 그쳤던 S21 울트라 대비 시리즈의 흥행을 강하게
견인했다. S22 울트라는 작년 하반기부터 단종된 갤럭시 노트의 디자인을 계승하며
큰 화면, S펜 탑재, 고성능 카메라 등의 측면에서 성공적으로 어필한 것으로 분석된다.
갤럭시S22 시리즈의 초반 흥행은 미국 시장이 주도했다. 카운터포인트의
최근 미국 주간 모델 트래커에 따르면 출시 후 첫 8주 기준 미국에서 S22 시리즈는
전년도의 S21 시리즈보다 39%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S22 시리즈의 미국 주간 판매량은 2주차에 최고치 달성 후 4-5주차에는
전작 수준까지 감소했는데, 출시 효과가 줄어드는 통상적인 하락 요인도 있었으나
이 무렵 GOS 이슈가 절정에 이르렀던 점은 참고할 만한 사항이다. 미국 내 주간 판매량은
GOS 이슈가 누그러진 4월 초 들어 일부 회복세를 보이기도 했다.
카운터포인트는 "S22 시리즈가 초반 준수한 해외 실적을
기록했지만 GOS 이슈가 낳은 잠재적인 리스크는 분명 삼성이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았다.
안드로이드 AP 성능 측정 앱으로써 공신력 높은 긱벤치가 GOS의 동작 방식을 벤치마크
치팅으로 규정하고, GOS를 탑재했던 일부 갤럭시 S 시리즈들과 태블릿까지 자체 성능
순위 목록에서 영구 퇴출시킨 사건은 브랜드 이미지에도 장기적인 타격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업계에서는 GOS 이슈의 근본적인 배경으로 삼성 파운드리의
낮은 모바일 AP 수율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 역시 향후 또 다른 삼성의 플래그쉽
스마트폰 성능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다. 프리미엄 시장에서 끊임없이 경쟁력을
이어가기 위한 삼성의 전략이 더욱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