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이 8% 감소하면서 8분기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분석기관 카운터포인트 리서치(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2023년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율은 전년 동기 대비 8%, 전분기 대비 5% 감소하면서 8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삼성전자는 전세계적으로 갤럭시 A 시리즈의 높은 판매에 힘입어 시장 점유율을 22%로 유지하면서 작년과 마찬가지로 2분기 시장 1위를 고수했지만 판매율은 12%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플은 다른 업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2%의 판매 하락세를 보이면서 점유율을 17%로 올려 역대 최고 2분기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샤오미는 가장 큰 시장인 중국과 인도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 판매율이 12% 감소했으며, OPPO는 중국 내 판매 및 인도에서 OnePlus 브랜드 덕분에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둬 서유럽에서 성적이 나빴음에도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이제 소비자 교체 주기가 길어지고, 장치 혁신이 융합되었으며, 중저가 가격대에 타격을 주는 성숙한 리퍼비시 시장이 출현함에 따라 고속 성장 단계를 지났지만, 도매가격 600달러 이상의 프리미엄 부문은 소비자가 주요 지역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금융 옵션 지원으로 우수한 경험을 선택하기 때문에 계속 성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프리미엄 부문은 2분기 스마트폰 시장에서 성장한 유일한 부문으로 2분기에 판매된 스마트폰 5대 중 1대 이상이 프리미엄 부문에 속할 정도로 전체 시장에서 가장 높은 기여도를 차지했다.
또한 애플이 이러한 프리미엄화 물결을 타고 일반적으로 핵심 시장으로 간주되지 않는 여러 신규 시장에서도 기록적인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 시장에서 애플은 올해 2분기에 전년 대비 50% 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밖에 2분기 스마트폰 매출은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지만 미국, 서유럽, 일본 등 상대적으로 선진 시장으로 구분되는 지역에서 두 자릿수의 큰 감소폭을 보였으며, 반면 중국, 인도, 중동 및 아프리카 시장은 상대적으로 덜 하락했다고 한다.
다만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글로벌 스마트폰 재고가 지난 4~5개우러 동안 건강한 수준에 도달하여 하반기에 OEM이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고 푸쉬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기 때문에 업그레이드 교체 주기를 가속화하며 3분기부터 천천히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