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 아이폰15 프로에서 보고되고 있는 발열 원인은 TSMC 3나노(nm)
공정이 아닌 아이폰 디자인 결함 때문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현지시간) 폰아레나 등 외신은 애플 분석가 밍치궈 보고서를
인용해 아이폰15 프로의 성능을 낮추지 않으면 발열 문제는 해결될 수 없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궈 분석가는 "휴대폰을 더 가볍게 만들기
위한 애플의 특정 디자인 결정은 역효과를 낳았고 결국 발열 사태를 불러왔다"면서
"아이폰15 프로 방열 면적이 더 작은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티타늄 프레임으로
인해 열 효율이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애플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믿지만,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을 수 있다"며 "상당한 개선을
위해서는 3나노 A17 프로의 성능을 낮춰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이폰15 프로의 발열 문제는 이미 많은 사용자들과 리뷰어들의
지적을 받고 있다. 게임 뿐만 아니라 소셜 미디어 앱이나 채팅 앱과 같은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앱을 사용해도 발열이 발생한다.
특히,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아이폰15 프로는 1도 화상을 입을
만큼 발열이 발생하고 스로틀링이 발생하면서 2분 만에 20% 성능이 하락하며 일부
사용자는 케이스 없이는 사용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보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