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NP/PCI CONFIGURATION]
이 부분은 PNP 기능과 PCI 카드의 인터럽트 강제 할당(일부 보드만
지원됨)과 시스템 리소스의 PNP 설정을 합니다. (일부 바이오스에는 USB나 기타
설정이 더 들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Resource Controlled By 설정이 AUTO 일 때] |
|
[Resource Controlled By 설정이 MANUAL일때] |
PNP OS Install
말 그대로 윈도우 95/98/2000 등과 같이 PNP 기능을 지원하는
OS를 컴퓨터에 인스톨을 하여 사용시 설정값을 Enable 로 합니다. 하지만 기타 PNP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OS를 사용시에는 Disable로 설정합니다.
Resource Controlled
By
최근에 출시되는 컴퓨터 부품들은 거의 다 PNP를 지원합니다.
모니터 마우스 심지어 프린터 까지.. 역시 OS 는 윈도우 95/98/2000 사용시 적용되는
이야기 입니다.
이 설정에서는 Auto로 설정 값을 하는 경우 새로운 장치가 컴퓨터에
장착될 때 장착되는 장치가 PNP 를 지원한다면 자동적으로 시스템의 리소스를 검색하여
자동적으로 리소스를 설정해주는 기능입니다. 보통 Auto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PNP를 지원하지 않는 장치가 있다면 Manual로 설정을 하고 일부 값을 바꾸게 되는데
Manual의 경우는 이 글의 성격상 일부 예만 들겠습니다.
Resource Controlled By |
: AUTO |
(최근 제품들은 이 부분에 설정을 바꾸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기본값이 "AUTO" 입니다.)
* ISA 버스 타입의 사운드 카드 경우 PNP 지원이 안 된다면 IRQ
를 잘 바꿔 주어야 합니다. 사운드카드의 경우는 IRQ 5 를 "NON PNP"(일부보드에서는
"ISA LAGACY" 로 표시되기도 합니다.)로 설정을 해주시면 보통의 경우는
잘 됩니다.
Resource Controlled By |
: MANUAL |
(물론 MAUAL로 바꾸어 놓으신 후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 ISA 버스타입의 모뎀을 사용하는 경우 PNP 지원이 안 된다면
IRQ 3 이나 IRQ 4 를 "NON PNP" 로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모뎀의 경우
모뎀도 셋팅을 맞추어 주셔야 됩니다. 모뎀에서 설정한 IRQ를 "NON PNP"
설정한 IRQ 와 같으면 됩니다.
예) ISA 버스 모뎀의 점퍼나 설정을 IRQ 4로 한 경우
IRQ-4 assigned to |
: NON PNP |
IRQ-4 assigned to |
: ISA LAGACY |
(위처럼 바꾸어 주시면 됩니다. 위의 두 가지
값은 동일한 설정이며 보드에 따라 다릅니다.)
* 이 부분에서 PCI SLOT 의 자원을 강제 할당할 수 있는 바이오스가
있습니다. SUPER MICRO 나 ASUS 등의 고급 마더 보드 등이 지원하는 기능으로 이 기능이
있다면 시스템에 많은 카드가 꼽힌다 해도 문제가 덜합니다. 일반적으로 그래픽 카드는
IRQ 11 에 놓아야 원래 성능이 나오며 시스템에 좋습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카드들...
사운드카드, 랜카드, 모뎀카드, 스카시카드, 스케너카드(I/O 타입) TV 카드, 동영상
편집카드 등 수많은 카드가 장착 될 수가 있으나 IRQ 할당에서 문제가 많이 생깁니다.
위의 나열한 카드 중 3개가 넘어가기 시작한다면 문제의 소지는 많다고 봅니다. 이상이
없을 확률도 높지만 자원과의 전쟁은 카드 3개가 넘어가면서 생긴다고 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대안이 있겠지만 권장 방법
몇 가지만 적겠습니다.
+++PCI SLOT 에 IRQ를 강제 할당할 수 있는 바이오스 경우, 기본적인
장치들을 최대한 맞게 설정합니다.
- VGA 카드 (IRQ11)
- TV 카드나 동영상 편집보드, SCSI 컨트롤러 (IRQ 10)
- LAN 카드 (IRQ 9)
- SOUND 카드 (IRQ 5)
이런식으로 바이오스상에서 SLOT 에 IRQ를 할당해 줍니다. 이 때에
마더보드의 매뉴얼을 참조 하여야 합니다. 이유로는 PCI 슬롯이 여러개인데, 어느 것이
1번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마더보드 매뉴얼을 참조한다면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보통 홀수, 짝수 등의 규칙으로 PCI 슬롯이 IRQ를
공유하는 경우가 많으니 꼭 공유 PCI 슬롯은 확인하여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슬롯과 공유라는 것은 시스템의 IRQ 는 한정되어 있는 자원이기 때문에 PCI 슬롯마다
IRQ를 다 줄 수가 없습니다. 있다면 PCI 슬롯의 개수가 적은 경우 일겁니다.
1. 그래픽 카드는 => IRQ 11
보통의 경우 IRQ 11은 다른 장치와 공유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로는 VGA 카드가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시스템 성능상 좋습니다. 안정성도
물론 이고요.
2. TV 카드나 동영상 편집보드, SCSI 컨트롤러 => 10
그 다음 중요하게 보는 것이 동영상 편집 보드류 입니다.
이 경우
몇 만원 대의 TV 카드부터 수백 만원대의 전문가용 제품이 있는데, 이 때 동영상 관련
작업시에는 컴퓨터로의 전송이 제일 큰 관건입니다. 그래서 IRQ 자원이 공유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장치들이 최상의 컨디션이 아닐 확률이 높기 때문에 설정시 주의가
요구됩니다. 고가의 제품일수록 저압축의 코덱을 사용한 동영상 캡처가 대부분이라
IRQ 공유시 저하되는 전송율은 이러한 동영상 편집보드 사용시 치명적인 에러를 유발
할 수도 있습니다.
스카시 컨트롤러의 경우도 IRQ 10 이나 IRQ 9 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별도의 스카시카드류 : 스케너 혹은 레코더 대응 제품을 사용
하기 위하여 따로 설치한 경우는 IRQ 14, IRQ 15 의 설정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마더보드의 IDE 컨트롤러를 사용하지 않는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3. 랜카드 => IRQ 9
그 다음은 랜카드의 경우인데 보통의 경우 랜카드는 IRQ 9을 많이
선호합니다. 보통 네트워크 업체에 설치 하시는 분들이 선호합니다. 절대적인 값은
아니지만 각 장치들의 특성에 많은 노하우로 인해 이 값이 맞는구나... 하는 값인 것
같습니다.
4. 사운드카드 => IRQ 5
그 다음은 사운드 카드 같군요. 사운드 카드의 경우 처음부터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IRQ 5이 대표적입니다. 사운드 블러스터가 출시되면서 많이
애용하지요. 저의 경우도 사운드 카드는 IRQ 5 으로 PCI 슬롯을 확인하여 강제 할당
하여 쓴답니다. 보통의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크리스탈 계열의 칩셋을 사용한 사운카드들은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유로는 IRQ를 1개가 아닌 2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아주 난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1개는 IRQ 5로 강제 할당
하며 나머지 한 개는 적당한 IRQ 로 들어가길 기도 합니다. <= 저의 경우. 저도
크리스탈 칩셋을 사용한 사운드 카드를 여러번 써보았지만 IRQ 2개를 써버리는 경우
모뎀과 충돌이 예상 됩니다.
그 외에도 랜카드, TV 카드, 등등 사용자들을 괴롭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크리스탈 계열의 장점은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카드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또 중요합니다.
저는 크리스탈 제품의 기능에는 만족스럽다라고 말할 수는 있지만
설치에 대해서는 이렇게 표현하고 싶군요.
PLUG AND PRAY ( 꼽고 기도하라 ?.? )<= 극히 일부의 예이니
오해는 말아주시길 바랍니다. 사실 크리스탈 제품이 문제가 아니라 다른 카드들도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사실 기도 해도 해결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 참고적으로 일부 그래픽 카드의 경우 IRQ 10 으로 맞출 수 있거나
가능하다고 설명이 나오면서 바이오스 업그레이드시나 설치 후 IRQ 10으로 설정시
하는 법 등의 설명이 있는데 이것은 IRQ 11 과 IRQ 10 이 PCI 버스마스터링 기능상
제일 유리하기 때문에 설명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VGA 카드는 반드시 IRQ 11로
설정 하시길 권장 드립니다. 그리고 IRQ 10은 그 다음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을 쓰시면 됩니다.
(예, 스카시콘트롤러, TV 카드나 동영상 편집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