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Mhz의 CPU를 450Mhz로 오버클럭하였을 경우 성능에서 어떤 차이가 날까? 이미 오래전부터 오버클럭에 있어서 가장 쉬운 수단이 300Mhz (66 x 4.5)를 450Mhz (100 x
4.5)으로 세팅하는 것이다. 가장 용이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버클럭의 한 방법이다. 이렇게 오버클럭을 하였을 경우에 성능이 어느 정도 향상되는지는 여러차례 리뷰나
벤치마크에서 자료로 제공한 바 있으나 사용자들의 요청이 많아 다시 한번 벤치마크로 자료를 제공한다.
사용된 부품들
PPGA타입의 셀러론 300Mhz
Slot 1 변환 어답타 카드
Aopen AX6BC rev 1.3
Elsa Victory II (부두밴쉬)
Quatum EX 6.4 GB 하드
한글윈도98 (DirectX 6.0)
동일한 보드인 AX6BC rev 1.3에서 평상시 클럭인 300Mhz와 오버클럭한 450Mhz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였다. 사용한 메인보드는 다양한 FSB를 지원하고 있어 117, 124,
148, 150 Mhz등의 클럭으로도 세팅이 가능한 제품이다. 이번 테스트에서는 100Mhz FSB (표준)를 사용하였다.
윈벤치2D,3D
프로그램 |
테스트 항목 |
Celeron 300A |
Celeron 450 (OverClock) |
WinBench99
(2D) |
Business |
95.5 |
139 |
Highend |
253 |
379 |
WinBench98
(3D) |
winmark |
1,010 |
1,400 |
Quake II
프로그램 |
테스트 항목 |
단위 |
300 MHz |
450 MHz (OverClock) |
QuakeII
version : 319 |
640x480 |
16bit |
fps |
38.3 |
40.5 |
800x600 |
16bit |
fps |
33.0 |
33.8 |
3Dfx모드의 Quake II v 3.19 에서 timedemo 옵션. 정상 클럭과 오버클럭의 차이가 상당히 큼에도 불구하고 Quake II 에서의 성능차이는 1~2 fps 로 아주 미미하다.
이정도라면 체감상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Unreal
프로그램 |
테스트 항목 |
단위 |
300 MHz |
450 MHz (OverClock) |
Unreal
version : 220
|
640x480 |
fps |
33.62 |
35.55 |
800x600 |
fps |
27.68 |
28.22 |
1024x768 |
fps |
19.16 |
19.31 |
3Dfx모드의 Unreal v220에서 timedemo 옵션. 역시 퀘이크2 와 마찬가지로 성능차이가 별로 없다. 고해상도로 갈수록 그나마 차이가 없어지게 된다. 3D게임에 있어서
CPU가 처리할 부분에서는 병목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300Mhz급정도의 펜티엄 II CPU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버클럭에 대한 미련을 갖지 않는
것도 좋을 듯 싶다.
Half-Life
프로그램 |
테스트 항목 |
단위 |
300 MHz |
450 MHz (OverClock) |
Half-Life
1.0.0.5 |
blowout |
640x480 |
16bit |
fps |
26.451 |
37.903 |
800x600 |
16bit |
fps |
26.272 |
32.004 |
1024x768 |
16bit |
fps |
22.788 |
23.389 |
1.0.0.6 버전에서의 blowout 옵션. 역시 3Dfx모드 였다. 오버클럭에 의한 성능개선효과는 이 게임에서 가장 잘 나타났다. 비록 고해상도로 올라갈수록 차이는 적었지만
640x480에서는 거의 50%정도 차이가 나고 있다.
만약 오버클럭이 필요한 사용자라면 반드시 PPGA타입의 셀러론 300Mhz (박스제품)을 구입하기를 권한다. 별로 어려움이 없이 쉽게 450Mhz로 오버클럭이 가능하며,
가격도 무척 저렴(약 10만원)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