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KMPLAYER에서 AVIVO HD 활용법
KM플레이어와 곰플레이어 그리고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는 대한민국 PC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윈도우즈 기반의 미디어 플레이어들이다. 각각의 미디어 플레이어는
동일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고 많은 사용자층을 가지고 있지만 각각의 플레이어마다
성격이 다르다.
각각의 플레이어마다 AVIVO HD를 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
플레이어별로 간단한 소개와 함께 AVIVO HD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참고로 AVIVO HD를 활용한다는 것은 MPEG-1, MPEG-2. H.264, VC-1 포맷으로 만들어진
동영상을 재생할때 AVIVO HD의 고급 디인터레이싱 기능, 노이즈 제거 기능, 스케일링
기능 그리고 DXVA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적용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설정 방법은 Cyberlink PowerDVD 7.3 Ultra를 설치한 이후의 각 미디어 플레이어별
설정법을 말하는 것이다.
KMPLAYER에서 AVIVO HD 활용법
프리웨어인 KM플레이어는 일반 유저보다는 고급 유저층이 사용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로써
동영상 재생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유저가 제어할 수 있고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로운
버전이 자주 업데이트되는 플레이어다.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도록 Direct Show 기반의
모든 외부 코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체 코덱으로 대부분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필터 효과를 통해 좀더 좋은 화질로 영화를 감상할 수도 있다.
재생과 관련된 여러 셋팅을 유저가 직접 조절할 수 있어 일반 유저들이 사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지만 익숙해지면 다른 플레이어들 처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
다양한 포멧을 자체 코덱으로 처리하거나 외부 코덱으로 처리할 수 있다.
KM플레이어에서 AVIVO HD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맨 처음 해야할 것은 내부 코덱으로
동영상을 재생시켰던것을 외부 코덱으로 변경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가장 맨 처음
해야할 것은 KM플레이어의 환경 설정 메뉴로 들어가서 H.264, VC-1, MPEG-2, MPEG-1
포맷을 자체코덱이 아닌 외부 코덱으로 재생하도록 설정을 해제하는 일이다. (미디어/자체
코딕/필터->자체코덱 사용 조건->내장 비디오 코덱)

▲
외부 코덱을 사용하도록 등록시키는 화면
그후 외부 비디오 코덱 메뉴로 들어가서 외부 코덱/필터 관리를 선택해 외부 코덱을
추가해야 한다. 외부 코덱/필터 관리창이 나타나면 시스템 코덱 추가를 선택하자.
이렇게 하면 위의 이미지처럼 필터 추가창이 또 하나 나타나게 되는데 여기서 Cyberlink의
비디어 디코더를 선택해 등록시켜주면 된다.
Cyberlink Video/SP BD-HD Decoder (PDVD7.x), Cyberlink VC-1 Decoder (PDVD7.x),
Cyberlink H.264/AVC Decoder (PDVD7.x) 이렇게 3가지를 등록한 후 확인을
눌러 외부 비디오 코덱 설정 메뉴로 복귀하자.

▲
외부 코덱을 등록하면 포맷별로 등록한 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과정을 그대로 이행했다면 각각의 포맷별로 이전 단계에서 등록했던
디코더를 고를수 있게 된다. MPEG1, MPEG2, H.264/AVC 모두 Cyberlink의 디코더로
선택하자.
여기까지 설정했으면 반 이상 설정이 끝난것이다. 그다음으로 해야할 것은 디코딩된
픽셀 정보를 랜더링할 랜더러를 선택하는 일이다. 이전 HDTV 수신카드의 AVIVO HD
적용 부분에서 테스트하였듯이 비디오 랜더러의 차이에 따라 AVIVO HD의 고급 디인터레이싱
적용 유무가 달라지기 때문에 Dxva를 통한 하드웨어 가속과 고급 디인터레이싱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비디오 랜더러를 잘 선택해야 한다.

▲
비디오 랜더러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비디오 랜더러는 환경 설정의 영상 처리 매뉴나 KM플레이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시 나타나는 메뉴중 고급 영상 처리 항목을 선택하면 위에서 두번째 항목에 비디오
랜더러 장치라는 메뉴가 나타나게 된다.
필자는 이 메뉴를 조작해 AVIVO HD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비디오 랜더러를
찾아낼 수 있었다.
- AVIVO HD 적용 가능한 비디오 랜더러
Overlay Mixer / VMR 7&9 Windowed
Mode / Enhanced Video Renderer(Vista Only)
- UVD 디코더 사용 가능한 비디오
랜더러
Enhanced Video Renderer(Vista Only)

▲
PowerDVD 코덱과 Enhanced Video Renderer(Vista Only) 설정후 테스트 클립 화면
HDTV 수신카드의 테스트에 사용했던 MPEG-2 포맷의 테스트 클립을 재생해가며
비디오 랜더러의 차이에 따른 디인터레이싱 기법 차이를 눈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Overlay Mixer / VMR 7&9 Windowed Mode / Enhanced Video Renderer(Vista Only)에서만
고급 디인터레이싱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
VMR 모드에서는 UVD가 동작하지 않는다

▲
Enhanced Video Renderer(Vista Only)에서만 UVD 동작 가능
그러나 특이하게도 Radeon HD 2600과 2400의 특징인 UVD 디코더는 윈도우즈 비스타에서만
가능한 Enhanced Video Renderer(Vista Only)에서만 동작이 됐다. MPEG-2 포맷의
클립에서는 이 부분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H.264 포맷의 1080p 킹콩 영화 클립을
재생하자 Enhanced Video Renderer(Vista Only) 모드에서만 CPU 점유율이 10% 이하로
하락했으며 다른 모드에서는 모두 40% 이상의 CPU 점유율을 나타냈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면 KM플레이어에서 AVIVO HD의 모든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Enhanced Video Renderer(Vista Only)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보여지며 모든 셋팅은
필자가 권한 셋팅방법을 따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