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대표 최휘영)의 NO.1 검색 포털 사이트 네이버(www.naver.com)는 숭례문에 얽힌 이용자들의 소중한 기억과 사연들이 담긴 사진들로 구성된 온라인 전시회 ‘숭례문의 아름다운 그 날(http://photo.naver.com/galleryn/17)’을 오픈했다고 10일 밝혔다.
‘숭례문의 아름다운 그 날’ 은 이용자들이 직접 보내온 사진 중 63 장을 선정, 시간과 시선의 흐름에 따라 숭례문의 과거와 현재, 낮과 밤, 사계절의 모습을 한편의 이야기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회사측은 숭례문 화재 발생 다음 날인 2월 11일부터 긴급히 ‘숭례문 사진 모으기’ 미션을 진행해 집안과 도시 곳곳에 남아 있는 1,300여장의 다양한 숭례문 흔적들을 온라인 공간으로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용자들이 보내온 1,300여장의 참여작에는 숭례문의 단순한 외관만이 아닌 현판과 처마, 지붕, 내부의 용무늬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한 관심이 반영돼 추후 숭례문의 복원과 관련한 소중한 사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NHN 홍은택 NAO(Naver Architecture Officer)는 “무엇보다도 문화재 관련 책자 또는 오래된 액자에서 숭례문의 모습을 찾아 출처를 밝히며 올려주신 참가자들도 상당히 많았다” 면서 “이는 아직 보이지 않는 곳에서 우리의 소중한 가치들을 지키고 있는 이용자들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증” 이라고 덧붙였다.
이어서 홍은택 NAO는 “국보 1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시간대와 촬영장소, 에피소드들을 통해 숭례문의 모습을 남겨주었던 많은 이용자들 덕분에 의미 있는 전시회를 준비할 수 있었다” 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시도를 통해 한국사회 그리고 이용자와 함께 호흡을 같이 하는 네이버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 이라고 말했다.
* [참고] 네이버 온라인 전시회 <숭례문의 아름다운 그날> 소개
<숭례문의 아름다운 그날> 전시는 63장의 사진으로 이뤄졌다. 하나의 커다란 보석처럼 사랑 받던 숭례문이 불길에 휩싸인 후 잔해가 되고, 국민들의 슬픔 속에 휘장 뒤로 사라져가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용자들이 보내온 사진들 가운데 구도와 노출 등이 뛰어난 작품들을 우선해서 뽑았으며, 기술적인 테크닉과 아울러 피사체인 숭례문에 대한 애정이 가득한 사진들을 뽑는다는 두 가지 기준이 있었다.
사진의 원제목 앞에 붙여진 <분류 표제>는 이야기가 전개돼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분류 표제>는 <큰 문>부터 <추모>까지 모두 16개이며, 이 가운데 <사계>가 14장으로 가장 많다. 봄 꽃들이 주변에 피어난 숭례문부터 여름날 분수대에 투영된 숭례문, 가을 오후에 시민들이 쉴 잔디밭을 내주던 숭례문, 흰 설경 속의 숭례문 등, 숭례문이 시민들에게 얼마나 큰 숨통이 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사진들이다.
후반부인 <침묵><일몰><불길><잔해><빈자리><아이들><추모>의 분류표제가 붙은 작품들은 610년 된 숭례문이 불길에 휩싸여 잔해가 된 후 숭례문을 사랑스런 피사체로 여기던 사진 작가들의 애석함과 문화유산을 이어받지 못하는 아이들의 슬픔, 시민들의 추모의 마음이 담겨 있다.
뉴스출처: NHN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