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SK하이닉스 랜섬웨어 공격받아..일부 자료 유출
SK하이닉스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회사 내부 자료 일부가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보안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SK하이닉스 미국 법인이 메이즈(maze)라는
해커단체로부터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다.
메이즈는 해킹으로 취득한 자료 중 일부인 600MB 분량의 내용을
자사 홈페이지에 공개하며 이를 빌미로 몸값을 요구하... |
[보도자료]안랩, 온라인 개학 관련 피싱 사이트에서 유포되는 랜섬웨어 주의 당부 안랩(대표 강석균)은 온라인 개학을 맞아 원격수업 관련 파일 다운로드를 위장한 피싱 사이트에서 블루크랩(BlueCrab) 랜섬웨어(이하,블루크랩 랜섬웨어)를 유포하는 사례를 발견해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공격자는 먼저 보안이 취약한 웹서버를 해킹해 자신이 만든 원격수업 관련 프로그램/파일 다운로드 위장 피싱 웹 페이지를 업로드했다... |
[보도자료]안랩, 윈도우 업데이트로 위장하는 신종 랜섬웨어 주의 당부 안랩(대표 권치중)은 최근 가짜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화면을 보여주는 신종 랜섬웨어 유포 사례를 발견해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공격자는 먼저 5926.tmp.exe, e291.tmp.exe, a717.tmp.exe 등의 이름(추후 변형 가능)으로 tmp파일(*)을 사칭해 다양한 경로로 악성파일을 유포했다. 공격자는 사용자를 속... |
[보도자료]멘로시큐리티, 멀웨어 감염시 100만 달러 지급 보장 프로그램 실시 멘로시큐리티(Menlo Security)는 오늘, 멀웨어에 대한 100% 보호를 보증하는 멀웨어 보호 보증(malware protection warranty)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랜섬웨어를 비롯한 독보적인 멀웨어 제거 기술을 보유한 멘로시큐리티는 멀웨어 공격이 자사의 웹 격리 기술 아이솔레이션 코어(Isolation C... |
[보도자료]트렌드마이크로, 2019 위협 결과 보고서 발표 트렌드마이크로(지사장 김진광)가 2019 위협 결과 보고서 (2019 Security Roundup Report)를 발표했다. 본 보고서는 현존하거나 새로 부상하는 위협으로부터 기업이 인프라를 보호할 수 있도록 모범 사례 및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위협 환경의 가장 중요한 문제와 변화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뉴스]랜섬웨어 이젠 이메일로 공격한다. 가짜 윈도우 업데이트 이메일 조심할 것
한동안 잠잠하던 랜섬웨어 소식에 또 다른 적신호 소식이 전해졌다.
이번에 전해진 소식은 윈도우 업데이트를 해야한다는 거짓 이메일에 첨부되어 있는 확장자명 .JPG 파일이 문제되는 것으로 해당 파일을 실행할 시 바로
랜섬웨어에 감염되어 모든 파일들이 암호화가 진행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윈도우 업데이트 이메일이 오게되면&n... |
[보도자료]1분기 신규 랜섬웨어 전년 대비 48% 증가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 )은 2019년 1분기 랜섬웨어 동향을 발표했다.안랩 분석 결과 올 1분기 동안 신규 랜섬웨어 샘플 수집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고, 랜섬웨어 탐지 건수는 '갠드크랩 랜섬웨어(57%)'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랩은 2019년 1분기에 총 34만 여개의 신규 랜섬웨어 샘플(... 2019/04/10 10:43:23 인터넷/SNS 소식 #안랩, #보안, #랜섬웨어 |
[보도자료]안랩, 랜섬웨어 방어 기능 강화 새로운 V3 Lite 출시 안랩은 26일, 자사의 대표적 개인사용자용 무료 PC 백신프로그램 V3 Lite에 랜섬웨어 대응 신규 기능과 사용자 친화적 UI(사용자환경)를 적용 완료했다고 밝혔다.안랩은 기존 V3 Lite의 강력한 악성코드 탐지 및 차단 기능에 안티랜섬웨어 툴(Anti Ransomware Tool) 통합으로 ‘랜섬웨어 정밀 검사기능’ 제공, 중요한... |
[보도자료]안랩, ‘2018년 상반기 보안 위협 Top 5’ 발표 안랩은 2018년 상반기 주요 보안 위협을 분석해 ‘상반기 보안 위협 Top 5’를 발표했다.2018년 상반기에는 크립토재킹 공격 대상 확대, 랜섬웨어 공격 방식 고도화, 지속되는 지능형 위협 공격,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지속, 특수 이벤트 악용한 사이버 공격 등이 주를 이뤘다. 1. ‘크립토재킹(Cryptojacking)’ 공격 대상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