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그래픽카드가 출시와 새로운 플랫폼이 나오기는 했지만, 가격대는 여전히 무서울 정도이기는 하지만 채굴 제품들이 풀리면서 고용량의 파워가 더 필요로 해진것도 사실 입니다.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500-600W 수준이면 충분할 정도의 성능을 보여주고 가격대도 3-4만원이면 구입할만큼 부담 없기도 합니다만..
문제는 고성능의 그래픽카드 사용에 따른 소비전력이 만만치 않다는 것입니다. 보통 파워서플라이를 평균 로드율을 70-80% 수준으로 해서 소비전력을 생각하기 때문에...소비전력 500W 시스템이라면 이보다더 큰 600-700W 이상의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해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가성비 제품군들이 출시가 되기도 하는데요 오늘 소개할 제품은 고용량의 파워서플라이중에 가성비 시리즈로 통한 에너지옵티머스의 엑셀클래식 시리즈 입니다.
그 중에서도 800W 용량의 제품으로 거의 대부분의 3천번대의 그래픽카드 사용에는 문제 없는 수준의 제품 입니다 물론 4천번대도 가능하겠죠!!

우선 80플러스 브론즈 인증 받은 제품입니다. 80플러스 인증을 받지 않고 가격을 더 저렴하게 측정하기도 하지만, 이건 신뢰와 안전의 문제도 있기 때문에...받는 제품을 추천 합니다...앞서 말했듯이 최대 효율 구간이 나오는 지점이 50% 부근에서 최대 효율이 나오고 안전하기도 합니다.
채굴 파워들이 불안한 이유는 최대한 전력을 100% 가까이 끌어오다보니 오는 부하에 따른 수명 하락이 빨라서 일어나는 현상이죠 적정선이라는 것은 항상 필요로 합니다.

제 블로그에서 Excel 시리즈 중에 저용량 제품을 한번 소개한것 같은데 클래식 시리즈로 800W 파워서플라이 소개는 처음인것 같네요

기존의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오고 팬 소음이야 원래 조용하니까...의외로 시끄러웠던 제품을 손에 꼽을 정도로 이제 파워서플라이의 팬 소음은 거의 없다시피 하는 수준 입니다.

800W 중에서 가성비 제품인만큼 모듈러 제품은 아닙니다.

총 4개의 GPU 포트 지원하기 때문에 이론상으로 2개의 그래픽카드 묶는데는 문제가 없기는 합니다만 현실적으로는 1개의 그래픽카드가 최대겠죠^^

프리볼트 아닙니다...고가의 제품군이 수출까지 생각하기 때문에 프리볼트가 존재하지만 어디까지나 가성비800W 파워니까요

테스트 시스템은 라이젠 5950X와 RTx3060ti 수준의 소비전력을 갖춘 쿼드로 A4000 입니다.

100% 로드율 걸었을시에도 깔금하네요..큰 변동폭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원래 사용하던 파워 750W 제품과의 전압 변동폭의 차이점도 크게 없었습니다.

코어의 소비전력은 122W 수준으로 기 사용하던 파워의 소비전력이 변동은 있지만 조금더 소비하는 편이였습니다.

부팅시에 각 전압별 로드율고 소수점 두자리 이내로 해서 문제 없는것으로 확인했습니다.

대기전력은 2W 수준 입니다. 제가 erp 부터 해서 모든 옵션을 활성화하기는 했지만, 기본적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SAS SSD도 존재하고 해서...소비전력을 1W 미만으로는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물론 원래 사용하는 750W EVGA 제품도 동일한 대기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두 제품다 80플러스 브론즈 인증이지만 로드율 구간이 다른데서 오는 소비전력의 차이가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EVGA 제품은 모듈러 제품으로 좀 더 고급형 제품군에 들어갑니다. idle 상태일때의 소비전력 입니다.

풀로드시에는 Excel 클래식의 최대 효율 구간에 들어가게 되면서 높은 용량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조금이라도 더 작은 소비전력을 보여주었습니다.

80플러스 브론즈 인증을 받은 제품군 중에서의 거의 최저가에 가깝다고 할 정도로 가격 경쟁력은 보여주기는 했습니다. ~~ 스탠다드 대비 높은 소비효율은 보여줄것으로 생각이 되며, 경쟁사 제품군하고 비슷하게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도 높은 편이라서 저렴하게 시스템 구축함에 있어서 좋은 평가를 줄 수 있을것으로 생각은 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마닉 클래식 시리즈와 비견해볼 것 같은데 가격 경쟁력은 좀 더 좋기 때문에 선택에 있어서 고민해보아도 될 것으로 생각은 합니다.
- 본 포스팅은 쿨앤조이와 제조사로부터 물품을 제공 받아 작성 하였습니다. -